[비건뉴스=김민정 기자] 무릎 관절 내 반월상연골판은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주요 구조물이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수분이 줄고 탄력이 떨어지는 퇴행성 변화나 급격한 방향 전환, 외상 등으로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손상 시 무릎에서 ‘뚝’ 소리가 나거나 힘이 빠지며, 부종과 통증이 동반될 수 있다. 이를 방치하면 무릎 연골이 점차 닳아 퇴행성관절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진다.
손상 범위가 작고 불안정성이 없는 경우에는 약물이나 주사 등 비수술적 치료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그러나 통증이 지속되거나 파열 부위가 넓을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힘찬병원 류승열 진료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반월상연골판 손상은 연령과 손상 양상을 함께 평가해 가장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며 “수술 여부를 결정할 때는 각각의 치료법 특성과 회복 과정까지 충분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수술 방법에는 찢어진 부위를 다듬는 부분절제술과 꿰매는 봉합술이 있다. 부분절제술은 통증이 비교적 적고 회복이 빠른 편이지만, 연골판 일부가 제거돼 장기적으로 관절에 부담이 남을 수 있다. 반면 봉합술은 연골판을 보존할 수 있으나 회복 기간이 길고 재활이 중요하다. 류 원장은 “퇴행성 변화가 심한 경우 봉합술을 시행해도 연골판이 잘 붙지 않아 통증이 지속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수찬 대표원장은 “환자 상태와 손상 정도에 맞지 않는 수술법이 적용되면 오히려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며 “진료 과정에서 충분한 상담을 통해 치료 방향을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