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경치료는 치아 내부 손상이 심해 내부 손상이 심해 치수조직이 드러나거나 뿌리까지 감염된 상태가 돼 신경조직이나 혈관 등이 감염됐을 때 진행하는 치료로, 감염 조직을 제거한 뒤 치근관 내부를 소독하고, 충전재를 채우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신경치료 직후에는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종종 신경치료가 끝난 뒤 몇 년 후부터 신경치료했던 치아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생긴다. 치아 주변에서 고름이나 농이 나오거나 혹은 치아를 씹을 때 불편한 느낌이 드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신경치료를 한 치아에 문제가 생긴 것인데 신경치료 당시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치수조직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했거나 치아를 덮은 크라운 보철이 제대로 접착되지 않은 경우, 시간이 지나며 보철치료한 부분에 구멍이 뚫리거나 하는 이유로 치아 뿌리 내부에 감염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보통 이런 경우 치아가 흔들리거나 통증이 심하기 때문에 치아를 무조건 뽑아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치아를 발치하기 전 단계로 재신경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 재신경치료란 말 그대로 신경치료를 다시 시행하는 것이다. 기존에 했던 신경치료를 반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당히 성공확률이 낮지만 기존 신경치료의 완성도가 낮을수록 재신경치료는 성공확률이 높다.
재신경치료는 그 난이도가 매우 높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기존의 크라운과 충전재를 모두 깔끔하게 제거해야 하며, 감염 부위를 정확하게 확인한 뒤 뿌리쪽 염증을 안정적으로 제거하고 신경관 내부를 완벽하게 소독을 해야 재신경 치료의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다.
만약 치아 주변 잇몸뼈 자체가 크게 약해졌거나 신경관이 막혀 염증을 제거할 통로를 만들지 못한 경우, 치아 뿌리가 미세하게 금이 가 있는 경우에는 재신경치료가 어려울 수 있다. 이때는 과감히 치아 발치 후 임플란트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신경치료한 치아는 자체 통증이 없기 때문에 염증이 생기더라도 심한 경우 증상이 나타나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경과관찰이 필요하며 재신경치료는 높은 수준의 신경치료 실력이 요구되는 만큼 전문성 있는 치과를 방문해야 하며 재신경치료를 시작한 이후에도 소독과 경과관찰과 같은 사후관리도 철저히 하며 진료를 이어 나가야 한다.
(수원 서울ds플란트치과 김동섭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