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치의학이라는 치과 학문에서, 여러 가지 발전이 계속 있어왔지만 그 중 획기적인 발전 중 하나가 임플란트이다. 예전에는 치아 상실 시 틀니나 브릿지라고 부르는 보철치료로만 대안이 있었으며, 이 브릿지 또한 점차 수명이 다해가면서 다수 치아를 상실하는 환자들의 종착치료는 틀니로 끝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 틀니는 저작 시 자연치아의 20% 정도 저작력만 발휘되며, 특히 한국인들이 좋아하는 김치 등을 씹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임플란트라는 치료의 발전과 보편화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이를 뽑게 되더라도 치아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게 됐다. 심미성과 저작기능도 우수해 많은 환자가 선택하고 있다.
임플란트 치료가 보편화됐지만, 그만큼 신중히 고려하고 치료를 들어가야하는 부분들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위 어금니 임플란트에서의 상악동이라는 공간이다. 위턱에는 상악동이라는 공간이 있는데, 이는 코와 연결되는 공기주머니 공간으로 안쪽은 점막으로 덮여있고 공기가 들어있는 부비동의 일종이다. 흔히 축농증 등이 심할 때, 염증이 발생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위 어금니가 상실됐다고 해서 무조건 상악동거상술을 진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악동이 많이 내려와 있거나, 잇몸 염증이 심해 상악동과 근접한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상악동 내 상악동 점막의 거상을 통해 임플란트를 식립할 공간을 확보하며, 부가적으로 점막 거상공간에 골이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상악동 막은 매우 얇고 예민해, 부주의한 술기 또는 점막이 유난히 취약한 경우, 쉽게 점막이 찢어질 수 있고, 이런 경우 상악동의 염증 (축농증 등)이 유발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따라서 상악동거상술 관련 전문성이 뛰어난 의료진과 세밀한 계획을 세운 뒤 시술해야 하며, 원내 시설이나 사후관리 프로그램 등을 모두 꼼꼼히 확인하는 게 좋다.
분당 연세으뜸치과 이성화 원장은 본지와의 서면인터뷰에서 “위쪽 어금니가 상실된 경우 정밀 검사 후 상악동거상술, 뼈이식 등의 시술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상악동거상술은 고난이도의 골이식 치료로, 반드시 수술을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전문의에게 상담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