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이용학 기자] 충치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발생하는 구강 질환으로, 다양한 단계에 따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초기 단계에서는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방치하기 쉽지만, 증상이 진행되면 치아 내부까지 손상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초기 충치는 치아의 표면에만 발생하며 통증이나 시림 등의 증상이 거의 없다. 이 단계에서는 생활 습관 개선과 간단한 레진 충전 등으로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방치하면 법랑질 내부의 상아질까지 손상이 진행된다. 상아질은 법랑질보다 약하기 때문에 쉽게 손상되며 이에 따라 통증과 시림이 나타나게 된다.
상아질이 손상된 충치는 손상된 부위를 제거한 후 레진, 세라믹, 지르코니아 등의 재료로 보충하는 치료가 필요하다. 이때 손상된 범위에 따라 인레이 또는 온레이 보철을 이용해 치아의 형태와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 인레이는 좁고 깊은 범위의 손상을, 온레이는 비교적 넓은 범위의 손상을 회복하는 데 사용된다.
충치가 더 진행돼 치수 조직까지 손상되면 신경치료가 필요하다. 신경치료는 치아 내부의 손상된 신경과 조직을 제거하고 충전재를 채운 후 크라운으로 덮는 과정을 포함한다. 크라운은 치아 모양에 맞게 제작되며 지르코니아, 세라믹 등의 재료로 만들 수 있다. 이 치료를 통해 치아의 외관과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신경치료로도 회복되지 않는 경우에는 발치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는 임플란트 등을 통해 상실된 치아를 대체해야 한다.
한번 손상된 치아는 자연 회복이 불가능하므로 가능한 한 초기 단계에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진행 단계에 맞는 치료를 통해 충치에 이환된 치질만을 제거하고 건강한 치질은 최대한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
충치치료를 한 뒤에는 어린이의 경우 불소도포나 실란트 등을 통해 예방하고 성인은 양치질과 정기적인 스케일링을 통해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서울수미치과 박주향 원장은 "충치는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질환이므로 평소 치아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며 초기 단계에서 발견하고 치료하면 치아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라며 “치아의 통증이나 시림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치과를 방문해 검사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