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농업기술원, 브로콜리 병해 확산 우려…적극 방제 당부

  • 등록 2025.10.14 17:32:32
크게보기

고온다습한 날씨 지속…검은무늬병·검은썩음병 확산 방지 필요

 

[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상환)은 월동채소 주산지인 애월읍, 한림읍 지역에서 브로콜리 검은무늬병과 검은썩음병 확산이 우려된다며 적극적인 방제를 당부했다.

 

올해 9월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3.4℃ 높았고, 강수일수는 20일로 평년의 2배에 달했다. 지난 11일 기준 평균기온도 평년 대비 5.5℃, 전년 대비 3.9℃ 높으며, 강수량 역시 전년보다 16.1㎜ 많아 따뜻하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상 여건 속에서 일찍 정식한 조생종 브로콜리는 꽃봉오리(화뢰)에서 검은무늬병, 잎에서는 검은썩음병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만생종에서도 초기 병반이 나타나는 등 예년보다 약 2주 빠르게 피해가 확인되고 있다.

 

검은무늬병은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며, 과습하고 밀식된 포장에서 주로 발생한다. 줄기나 잎자루에 동그랗거나 타원형의 갈색 반점이 생기고 점차 말라죽는다. 꽃봉오리에 감염되면 검은 반점이 생기고 심하면 썩어 상품성이 크게 저하된다.

 

검은썩음병은 세균이 원인으로, 비나 바람, 곤충이 생긴 상처를 통해 감염된다. 잎 끝이 노랗게 변하며 U자나 V자 모양으로 변색되는 것이 특징이고, 심하면 잎 전체가 누렇게 변한다.

 

 

농업기술원은 병해 확산 방지를 위해 △강우에 대비한 포장 내 배수로 정비 △밀식 재배 지양 △초기 병반 발견 시 등록된 살균제를 7~10일 간격 2~3회 살포할 것을 당부했다.

 

또한, 브로콜리 주요 병해의 진단과 방제 정보를 담은 ‘브로콜리 검은무늬병, 검은썩음병 진단 방법’ 리플릿을 제작·배포했으며, 관련 자료는 누구나 열람 가능하도록 농업기술원 누리집*에서도 열람할 수 있다.

 

허영길 농업재해대응팀장은 “브로콜리 병해가 많이 발생한 상황에서 생육이 진전되면 병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며 “꽃망울이 생기기 시작할 때 잎에 이상이 보이거나 비가 자주 내릴 경우 전용 약제를 사용해 집중적으로 방제해야 12월부터 내년 2월 사이 수확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최지영 수습기자 choi@vegannews.co.kr
Copyright 비건뉴스.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제호 : 비건뉴스 | 주소 : 03196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222, 2층 25호(종로5가, 광동빌딩) | 대표전화 : 02-2285-1101 등록번호 : 서울, 아 05406 | 등록일 : 2018.09.26 | 발행인·편집인 : 서인홍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유리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홍다연 02-2285-1101 vegannews@naver.com

비건뉴스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1 비건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desk@veg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