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아는 매우 단단한 법랑질로 둘러싸여 있다. 하지만 치아 손상이 지속되다 보면 법랑질이 깨지거나 썩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부 상아질과 치수조직이 손상될 수 있다. 내부 조직은 매우 약하며 염증이 급속도로 퍼질 수 있어 평소 치아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게 중요하다.
하지만 자신도 모르는 사이 충치 등의 구강질환이 악화했거나 치아에 금이 간 경우, 치아 일부가 깨지는 경우 균이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조직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치통이 너무 심하고 식사하기 어려울 정도라면 신경치료를 통해 회복해야 한다.
신경치료는 치아 깊은 곳에 있는 치수조직을 제거하면서 통증을 없애고, 감염이 더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치료 방법이다. 신경 자체를 치료하는 것은 아니며 내부 조직을 모두 다 제거하는 데 중점을 둔다.
다만 치수조직은 개인마다, 치아 위치마다 그 형태가 다르며 매우 복잡한 구조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여러 차례 제거하며 미세한 부분이 남지 않도록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 만약 내부에 감염 조직이 조금이라도 남게 되면 증상이 재발할 수 있고, 치아 뿌리까지 염증이 퍼져 발치해야 할 수 있다.
치수조직을 꼼꼼히 제거한 후에는 치근관 내부를 소독하고 충전재로 꼼꼼히 채워야 한다. 이후 치료를 위해 치아에 구멍을 낸 부분을 밀봉한 뒤 크라운 보철을 제작해 덮어주고 균이 더 침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크라운 보철은 치아 외관은 물론 저작기능까지 모두 고려해 제작해야 한다. 따라서 주변 치아 구조나 맞물리는 정도 등을 모두 파악해 꼼꼼하게 제작하는 게 중요하다. 또한 치아 위치에 맞춰 심미성, 기능을 고려해 적절한 재료를 선택해야 한다. 신경치료 후에는 재발 방지를 위해 청결 관리를 꼼꼼히 해야 하며, 보철에 문제가 없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게 중요하다. (신항섭 포천 송우바른치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