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이용학 기자] 충치는 치아 관리가 소홀했을 때 생기기 쉬운 질환으로, 어린이에게서 많이 발생하지만 성인에게서도 흔하게 발생할 수 있다. 충치를 일으키는 세균은 많으나 그중 뮤탄스균이 충치 발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뮤탄스균은 구강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고 치아와 같이 단단한 조직의 표면에 서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뮤탄스균은 치아에 붙어서 산을 분비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산으로 치아가 우식되면서 충치가 생기는 것이다.
초기 충치에서는 레진을 활용한 충치 치료가 가능하며 한 번의 치과 방문으로 치료를 마칠 수 있다. 초기 충치는 거울로 치아를 살펴봤을 때 치아에 까만 점이나 선이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통증이 느껴지지 않아 간과하기 쉽다. 하지만 주기적으로 치과 검진을 받는다면 이 단계에서 충치를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다.
법랑질 속 상아질까지 충치가 생긴 중기 단계에서는 찬 음식을 먹을 때 치아에 시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충치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느껴지는 통증은 달라질 수 있지만 양치질을 할 때, 음식을 먹을 때 자극과 약한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2단계 충치 치료는 치아 상태에 따라 레진이나 인레이 등의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치통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후기 단계에서는 통증을 참다가 치과에 방문하는 경우가 많다. 충치가 치아의 겉부분인 법랑질, 상아질, 치수까지 침범한 경우로 이 단계부터 신경조직을 긁어내는 '신경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충치의 상태에 따라 치료 횟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신경 치료 후에는 치아 전체를 수복하는 크라운 치료로 마무리한다. 이 시기마저 놓치게 되면 치아가 흔들리거나 신경세포와 기타 조직이 괴사돼 통증이 사라진 듯한 느낌을 받기도 한다. 이 경우, 치아를 살릴 수 없어 발치 후 임플란트를 고려해야 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천 종로미시간치과 전경배 원장은 본지와의 서면인터뷰에서 "충치 치료는 초기에 확인해야 치료 시간과 비용, 통증이 가장 적다"며 "충치는 예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미 생긴 충치라면 초기 단계에 치료하는 것이 좋다.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통해 치아의 문제를 빨리 발견하고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평소에도 충치를 예방하려면 양치질 할 때 칫솔 외에 치실과 치간 칫솔을 활용하는 것이 좋고 주기적인 스케일링으로 치석과 치태를 꼼꼼하게 제거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