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이용학 기자] 영구치 관리를 소홀하게 되면 치주 질환, 충치 등으로 인해 치아가 탈락할 수 있다. 치아가 상실되면 자연치아를 대신하기 위한 치과 치료를 고려해야 하는데, 대표적인 치료 방법이 '임플란트'다.
임플란트는 잇몸과 턱뼈에 인공치근인 임플란트를 심고 보철물을 연결해 자연치아를 대체하는 치료법이다. 임플란트는 잘 관리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구강 관리를 소홀히 하면 임플란트 주위염 등 부작용이 생겨 임플란트를 빼야 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임플란트에는 자연치아와 달리 신경이 없기 때문에 문제가 생겨도 통증을 느끼지 못하고 지나치기 쉽다. 따라서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통한 선제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임플란트는 초진을 통해 환자의 현재 구강 상태 및 잇몸뼈의 양, 신경 구조 등을 파악하고 진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치료를 시작한다. 이후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실밥을 제거한 뒤 보철물 본을 뜨고 장착하기까지 대개 2~3개월이 소요되는데 잇몸뼈의 양이 부족해 뼈이식을 하거나 상악동 거상술을 하는 경우라면 시술 기간이 달라질 수 있다.
임플란트는 유지 관리의 단절, 치주염, 구강위생 관리 소홀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자연치아와 마찬가지로 임플란트 주위에 염증이나 치석이 생겨 임플란트를 고정시키는 뼈가 내려가면 임플란트를 제거해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식립 후에는 6개월에 한 번 치과에 정기적으로 방문해 잇몸의 상태와 보철물을 점검해야 한다.
의정부 서울수치과 신승호 원장은 본지와의 서면인터뷰에서 "안전한 임플란트 수술을 위해서는 먼저 환자 개인의 치아 상태 및 잇몸뼈의 상태 등을 정밀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면밀한 검사를 통해 개인 맞춤 치료계획이 수립됐다면 정확한 임플란트 식립이 진행돼야 하며, 이후 사후 관리를 철저히 해야 임플란트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