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 중 대부분은 한 번 이상 잇몸 염증이 발생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만큼 잇몸 염증은 흔히 발생하는 구강질환인데, 조기에 치료하면 큰 문제 없이 개선할 수 있다. 하지만 오랜 시간 방치하면 잇몸뼈가 흡수되고 잇몸이 녹아 내리며 치아 보존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평소 구강 청결 관리를 꼼꼼히 하며 잇몸에 염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식후에 양치를 제때 하지 않았거나 치아와 잇몸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대로 제거하지 않아 치태와 치석이 쌓여 염증이 발생했다면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잇몸 염증이 초기 단계일 때는 치석이 깊게 쌓이지 않아 치료하기가 수월하다. 염증이 심하지 않을 때는 부종이나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스케일링만 해도 바로 염증이 개선돼 큰 부담이 없다.
그런데 치석을 제때 제거하지 않아 잇몸 깊숙하게 치석이 쌓이면 점점 잇몸이 퇴축되면서 치아 뿌리가 드러나 풍치 증상에 시달릴 수 있다. 또한 잇몸뼈가 약해지고 소실되면서 치아가 흔들려 음식 저작이 어려워지고 결국 치아를 발치해야 할 수 있다.
물론 염증이 심하다고 해서 무조건 발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잇몸치료를 통해 충분히 회복할 수 있다. 우선 치과에서 염증이 진행된 상태를 확인하고 치석을 제거하는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염증이 심할 때는 스케일링만으로는 치석을 다 제거하지 못하므로 치근활택술, 치은소파술 등을 활용해야 한다.
이러한 치료를 단계적으로 진행하면서 염증 조직을 제거하고 치아 표면을 깨끗하게 하면 염증을 가라앉힐 수 있다. 증상이 매우 심하다면 수술적 요법으로 잇몸을 절개해 염증 부위를 모두 제거해야 한다. 이후 퇴축된 부위는 잇몸성형으로 개선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꼼꼼히 관리하며 치아를 보존할 수 있다.
치료 후 생활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증상이 재발해 결국 치아 보존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스스로 사후관리에 신경 쓰며 구강 건강을 보존해야 하겠다. ( 수원 광교365리움치과병원 치주과 전문의 윤현필 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