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손발톱 무좀은 곰팡이균 감염으로 손톱이나 발톱이 두꺼워지고 변색·부스러짐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재발이 잦아 생활 불편을 초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무좀은 전염성이 높아 방치하면 다른 손발톱이나 가족에게까지 전파될 수 있어 조기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
최근 보고에 따르면 손발톱 무좀은 고온다습한 환경, 꽉 끼는 신발 착용, 공용 샤워실 이용 시 발생 위험이 커지며, 당뇨병 환자나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서 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치료에는 항진균제 국소제, 경구제, 레이저 치료 등이 활용된다. 국소제는 곰팡이를 억제하지만 두꺼운 손발톱을 완전히 투과하기 어려우며, 경구제는 치료 효과가 높은 대신 간 기능 저하 등 부작용 우려가 있어 환자 상태에 따라 신중한 처방이 필요하다.
센트럴시티의원 이정도 원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손발톱 무좀은 단기간에 완치하기 어려운 질환으로, 치료 방법을 적절히 병행하고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피부과에서는 국소 치료, 복용 치료, 레이저 치료 등을 조합해 무좀균 제거와 손발톱 회복을 동시에 도울 수 있도록 치료를 제공한다”고 전했다.
예방을 위해서는 손발을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하고, 통풍이 잘되는 신발을 신으며, 수영장·헬스장·찜질방 등 공용 공간에서는 개인 슬리퍼나 샌들을 착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전문가들은 손발톱 무좀을 미용상의 문제로만 여기지 말고 피부과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재발 방지와 삶의 질 개선에 필요하다고 조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