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뉴욕시가 공립학교와 병원에서 가공육 제공을 전면 중단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이는 뉴욕시 보건국과 시장실 식품정책국(MOFP)이 최근 공개한 새로운 식품 기준에 따른 것으로, 2026년 7월부터 본격 시행된다. 이번 조치는 학교와 병원뿐 아니라 노인, 노숙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음식을 제공하는 기관에도 적용된다.
새로운 기준은 건강 불평등 해소와 만성질환 예방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가공육을 비롯한 고도 가공식품은 나트륨과 포화지방, 첨가당이 과도해 비만,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반면 과일과 채소, 통곡물, 식물성 단백질 식품은 체내 염증을 줄이고 면역력을 높이며 심혈관 건강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적극 권장된다. 이번 기준은 바로 이러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전형태 혹은 최소한으로 가공된 식품을 장려하고 불필요한 첨가물과 인공 색소, 감미료 등을 제한하도록 설계됐다.
특히 주목할 점은 식물성 단백질의 비중이 대폭 확대된 것이다. 콩류, 견과류, 두부, 렌틸콩과 같은 식물성 단백질은 육류에 비해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낮고 섬유질과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다. 이는 단순히 건강상의 이점에 그치지 않고, 기후 위기 대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가축 사육은 온실가스 배출과 토지·수자원 낭비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돼왔는데, 식물성 식단으로의 전환은 환경 부담을 줄이는 중요한 열쇠로 평가된다. 뉴욕시는 이미 병원에서 식물성 식단을 기본 옵션으로 제공해 환자 만족도 90% 이상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둔 바 있다. 이번 조치는 그 성공 경험을 공립학교와 다양한 공공기관으로 확대한 셈이다.
또한 새 기준은 인공 색소와 특정 밀가루 첨가제, 보존제의 사용을 규제하고, 저칼로리·무칼로리 감미료 제한을 모든 연령대로 확대했다. 이는 가공식품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습관을 형성하도록 유도하려는 취지다. 간식 제공 기준 역시 강화돼 영양 품질을 높이고 다양한 선택지를 보장하도록 했다.
미셸 모스 뉴욕시 보건국장 직무대행은 “모든 뉴욕 시민이 맛있고 건강한 음식을 즐길 권리가 있다”며 “새로운 기준은 건강 형평성과 기후 건강을 동시에 실현하고, 당뇨병과 심혈관질환 같은 만성질환을 줄여 시민들의 기대수명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욕시의 이번 결정은 단순히 가공육을 금지하는 조치를 넘어, 미래 세대를 위한 건강과 환경을 함께 고려한 정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공공 급식에서의 변화는 어린이와 청소년, 환자 등 많은 시민들의 일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만큼, 향후 전 세계적으로도 식물성 식단 확대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