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이용학 기자] 치아에 발생하는 통증은 대부분 충치나 치아 손상으로 인해 신경까지 염증이 진행된 경우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흔히 신경치료를 시행하지만, 일부 환자는 치료 후에도 통증을 호소하거나 몇 년이 지나서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초기 신경치료 과정에서 감염된 조직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거나 시간이 흐르며 치아를 덮었던 보철물에 문제가 생겨 균이 다시 침투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치아를 보존하기 위한 방법으로 '재신경치료'가 고려된다. 재신경치료는 기존의 신경치료를 다시 시행하는 것으로 자연치아를 유지할 수 있는 마지막 방법이다.
신경치료는 치아 내부의 감염된 신경조직과 혈관을 제거하고 치근관 내부를 깨끗이 소독한 뒤, 충전재를 채워 넣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때 치료가 정확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염증이 남아 재발하게 되며, 통증이 심해지면 발치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발치 이전에 재신경치료를 통해 치아를 살릴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특히 치아를 뽑게 되면 임플란트나 틀니 등의 추가 치료가 필요하고 경제적, 시간적 부담이 크기 때문에 자연치아를 유지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재신경치료는 첫 번째 신경치료보다 난이도가 높은 편이다. 기존의 크라운과 충전재를 제거한 후 남아있는 감염 조직을 찾아서 제거해야 하기 때문이다. 감염된 부위를 철저히 소독하고 염증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으면 재발 가능성이 크다. 이 과정에서 미세하게 갈라진 치아 뿌리나 치조골 약화가 발견되면 치료가 더욱 까다로워진다. 또한, 치아 내부의 신경관이 막혀 염증 제거 통로를 확보하지 못하거나 치아 뿌리에 미세한 금이 간 경우에도 재신경치료가 어려울 수 있다.
재신경치료가 성공하려면 숙련된 기술과 세밀한 진단이 필요하다. 치과 의료진의 실력에 따라 치료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감염 부위가 남아 있지 않도록 꼼꼼하게 제거하고 치근관 내부를 정밀하게 소독해야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기존 보철물이 부실했거나 접착 부위에 미세한 틈이 생긴 경우 재감염의 위험이 크므로 이러한 원인을 명확히 진단하고 해결해야 한다.
치료 후에는 철저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재신경치료를 받은 치아는 재발 위험이 있으므로 보철물의 내구성을 높이고 외부 균이 침투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단단하거나 끈적한 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해 경과를 관찰해야 한다. 치아 내부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초기 단계에서는 증상이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검진이 중요하다.
김포베스트치과 김동영 원장은 19일 본지와 서면 인터뷰에서 “신경치료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재발하는 경우, 섣불리 발치를 선택하기보다 재신경치료를 통해 치아를 보존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재신경치료는 기존 신경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연치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다만 치료 과정이 정밀하고 어려운 만큼 의료진의 실력과 환자의 철저한 관리가 뒷받침돼야 한다. 자연치아는 한 번 손상되면 다시 회복할 수 없기 때문에 발치보다는 보존을 목표로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