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이용학 기자] 여성은 생애주기 변화에 따라 다양한 건강 문제를 경험한다. 요실금은 특히 중장년층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국내 여성의 약 40%가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비뇨의학회에 따르면 요실금은 출산 경험, 노화, 골반저근 약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계절이 바뀌는 시기에는 기온 차와 일교차로 인해 배뇨 자극이 커져 증상을 더 심하게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요실금은 복압성, 절박성, 혼합성 등으로 구분되며, 이 중 약 80~90%는 재채기나 줄넘기,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소변이 새는 복압성 요실금이다. 증상의 정도에 따라 운동·행동치료나 약물치료로 개선될 수 있으나,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대표적 방법으로는 TOT수술과 미니슬링 수술이 있다.
삼성레이디여성의원 지현영 대표원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요실금은 생명을 위협하지는 않지만 사회생활과 자신감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증상이 의심되면 방치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삶의 질 개선에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