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임플란트 치료에서 턱뼈의 밀도, 신경 위치, 식립 각도와 깊이 등 해부학적 요소는 성공 여부를 좌우한다. 최근에는 CT 촬영을 통한 3차원 구강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수술 계획을 수립하는 ‘컴퓨터분석 임플란트’가 도입돼 주목받고 있다.
컴퓨터분석 임플란트는 수술 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확한 위치와 각도, 깊이를 미리 설정하고, 위험 요소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를 토대로 수술용 가이드를 제작해 치료 중 오차를 최소화하고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방식은 수술 시간이 단축되고 절개 범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어, 고령 환자나 전신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도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신경과 가까운 위치, 뼈가 얇은 부위, 다수의 임플란트를 동시에 식립해야 하는 상황에도 적용 가능성이 높다. 감염이나 주위 조직 손상과 같은 합병증 발생 위험을 줄이고, 환자는 시뮬레이션 화면을 통해 수술 과정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어 심리적 안정감도 얻을 수 있다.
다만 모든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뼈 손실이 심하거나 가이드 제작이 어려운 경우에는 다른 치료 계획이 필요하다. 의료진의 경험과 분석 능력 또한 치료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세이프플란트치과의원 이경진 원장은 “컴퓨터분석 임플란트는 환자 상태에 맞는 정밀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특히 식립 위치와 각도에 민감하거나 기존 치료에 실패했던 경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정확한 진단과 계획 수립이 전제돼야 하며, 치료 전 충분한 상담이 필수적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