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치아 상실 후 시간이 지나 뼈 흡수가 심하게 진행되거나 외상·염증으로 치조골이 크게 손상된 경우, 일반적인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임플란트는 턱뼈인 치조골에 고정돼야 안정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뼈의 높이와 두께가 부족하면 고정력이 떨어져 실패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조골이식수술은 턱뼈 결손이나 흡수 부위에 뼈를 이식해 임플란트를 심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치료로, 자가골·동종골·이종골·합성골 등이 사용된다. 자가골은 생착률이 높지만 추가 채취가 필요하고, 이종골과 합성골은 채취 부담이 없고 흡수가 일정해 최근 활용이 늘고 있다.
이식 후 일정 기간 뼈 형성이 진행된 뒤 임플란트를 식립하게 되며, 일부 경우에는 발치 직후 원데이 임플란트가 가능하다. 그러나 고령 환자나 골흡수가 심한 환자, 잇몸이 얇은 경우에는 사전 정밀 진단이 필수라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3D CT와 구강 스캐너 등을 활용해 뼈의 양·형태·신경 위치를 분석하고, 필요한 부위에 정확하게 이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이프플란트치과의원 이경진 원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치조골이식수술은 단순히 부족한 뼈를 보완하는 수준을 넘어 임플란트 성공률을 좌우하는 핵심 과정이 될 수 있다”며 “뼈가 부족하다고 임플란트를 포기하기보다, 정밀한 진단과 치료계획을 통해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