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세계 각국이 기후위기 대응의 실질적 이행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오는 11월 브라질 아마존 지역 벨렘에 모인다.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는 파리협정 이후 10년을 앞둔 시점에서, 각국의 기후 행동을 ‘약속(promise)’에서 ‘실행(practice)’으로 전환할지를 가늠하는 결정적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COP30은 11월 10일부터 21일까지 2주간 열리며,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198개 당사국과 국제기구, 시민단체, 기업 등이 대거 참석한다. 개최국 브라질은 이번 회의의 주제를 ‘글로벌 무티랑(Global Mutirão·공동노력)’으로 정하고, 실질적인 기후 행동을 촉구하는 ‘액션 아젠다(Action Agenda)’를 제시했다.
이번 회의의 주요 의제는 △에너지·산업·운송의 전환 △산림·해양·생물다양성 관리 △농업·식품시스템 변화 △도시·인프라·물 관리 △인간 및 사회개발 △금융·기술·역량강화 등 6대 축으로 구성됐다. 브라질 의장단은 “지금은 선언보다 실천이 필요한 시기”라며 각국 정부와 산업계가 구체적인 이행계획을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특히 이번 회의는 각국이 제출해야 하는 강화된 국가결정기여(NDCs)와 첫 번째 글로벌스톡테이크(GST-1) 결과를 토대로 향후 5년간의 감축 전략을 재설계하는 자리로 평가된다. COP30이 열리는 2025년은 파리협정 목표 달성을 위한 중간점검 시기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회의에서는 “우리는 목표대로 가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핵심 쟁점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산업적 관점에서 COP30의 논의는 에너지 구조의 전환과 기후금융의 역할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 탄소중립 산업전환, 지속가능한 운송체계 구축 등은 모두 막대한 금융지원 없이는 실행이 어렵다. 이에 브라질과 주요국들은 기후금융 확충 및 손실·피해(Loss & Damage) 재원 조성 방안을 중점 논의할 계획이다. 그러나 선진국이 약속한 연간 1000억 달러 규모의 지원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어, 신뢰 회복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개발도상국들은 “예측 가능한 재원이 확보되지 않으면 감축 목표는 공허한 약속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지난해부터 기후금융 분담 논의가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으며, 감축 중심의 지원에 비해 적응(Adaptation) 및 피해보상 분야는 여전히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이로 인해 COP30에서도 ‘기후정의(Climate Justice)’가 핵심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회의는 아마존 지역에서 개최된다는 점에서도 상징성이 크다. 브라질 정부는 ‘산림 보전’을 COP30의 중심 의제로 내세우며, 아마존 생태계 보호를 통한 자연기반해법(Nature-Based Solutions)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현지에서는 대회 준비 과정에서 인프라 개발과 숙박비 급등 등 부작용이 나타나고, 원주민 공동체가 논의 과정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환경단체들은 “산림보전과 산업개발의 균형이 COP30의 신뢰도를 좌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COP30은 민간 부문과 기업의 책임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국제기후행동네트워크(CAN)는 “이제 기업이 회의장에 참여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투자·생산·공급망 전반에서 구체적인 감축 성과를 입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생에너지 확대, 산업공정 전환, 탄소중립 제품 생산 등이 새로운 산업경쟁력의 기준이 될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결국 이번 COP30은 각국 정부가 말한 목표를 얼마나 실행 가능한 계획으로 전환하느냐에 따라 향후 10년간의 기후정책 방향이 결정될 것이다. 전문가들은 “브라질 아마존에서 열리는 COP30은 기후위기의 상징적 현장에서 열리는 만큼, 지구의 온도를 1.5도 이내로 억제하겠다는 약속을 행동으로 보여주는 자리가 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