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김민정 기자] 무릎 관절염은 중장년층에서 흔히 나타나는 퇴행성 관절 질환으로, 관절 연골이 점차 마모되며 통증과 부종, 운동 범위 감소가 나타난다. 초기에는 보행 시 통증이 주로 발생하지만 진행될수록 휴식 중에도 통증이 지속되고, 관절 내 삼출액 증가나 마찰음이 동반되는 사례도 보고됐다.
무릎 관절염 치료는 증상 정도, 연령, 활동 수준, 기저질환 등을 종합해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초기에는 약물,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 비수술적 관리가 우선 적용되며, 자가골수 농축 흡인물 주사와 PRP(자가혈소판혈장) 주사 등이 연구와 임상 현장에서 보조적 치료로 활용되고 있다. 통증이 지속되거나 구조적 손상이 심해질 경우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할 수 있으나, 의료계에서는 조기 진단과 비수술 치료를 통해 수술 단계로의 진행을 늦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생활습관 관리 역시 중요한 치료 요소로 꼽힌다. 체중은 무릎 관절에 직접적인 부담을 주는 변수로, 체중이 감소할수록 하중이 줄어들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관련 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다. 운동은 무릎에 부담이 적고 근력을 강화하는 형태가 권장되며, 실내 자전거·수영·평지 걷기 등이 비교적 안전한 운동으로 소개된다. 반면 쪼그려 앉기, 양반다리, 무릎 꿇기 등은 관절에 하중을 높일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근력 강화와 스트레칭도 필수적이다. 대퇴사두근과 둔근 강화는 무릎 관절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 햄스트링·종아리 근육 스트레칭은 유연성 확보를 돕는다.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신발을 착용하고, 필요 시 의료용 보조기나 테이핑을 활용하는 방식도 보조적 수단으로 사용된다.
시흥 연세탑통증의학과 박주선 원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무릎 관절염은 생활습관 조절과 비수술 치료를 병행하면 증상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이어 “통증을 장기간 방치하면 만성화되거나 치료 기간이 길어질 수 있어 조기에 진단을 받고 개인별 상태에 맞춘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무릎 관절염 관리는 단기 치료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생활 관리가 핵심이라는 점이 의료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규칙적인 운동, 체중 조절, 관절에 부담을 주는 자세의 개선 등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며, 증상이 나타날 경우 의료진을 통해 정확한 평가와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