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이용학 기자] 나이가 들면 신체 전반적인 기능이 저하되고, 건강 문제가 하나둘 나타나게 된다. 치아와 잇몸 역시 점차 약해지며 각종 구강질환에 취약해지는데, 잇몸뼈가 소실되면서 치아를 하나둘 상실할 수 있다.
치아가 다수 상실되면 음식을 섭취하는 것부터 어려워지며, 발음도 정확하게 구사하기 힘들어진다. 외적인 변화도 나타나면서 자신감이 하락할 수 있는데, 치아를 잃은 경우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해야 한다.
임플란트는 자연치아를 대체할 수 있는 인공치아로, 인공치근과 지대주, 보철로 구성돼 있다. 자연치아와 그 구조와 기능, 외관이 유사해 선호도가 높은데, 잇몸뼈에 직접 인공치근을 식립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며 음식 저작에도 불편함이 적어 많은 이들이 시술받고 있다.
다만 노인 임플란트 시술 시 건강 상태를 고려해야 한다. 고령 환자는 대부분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을 앓는 경우가 많고, 여러 질환을 동시에 앓기도 한다. 이러한 질환으로 인해 감염에 취약해지거나 회복 속도가 더뎌 치료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건강 상태에 맞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만성질환이 중증 이상이라면 건강 관리 후 임플란트를 식립해야 할 수 있다.
잇몸뼈 상태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잇몸뼈가 소실될 수 있고, 치주염이 심하거나 장기간 틀니 착용으로 잇몸뼈가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때는 뼈이식을 동반한 임플란트 시술을 진행해 안전성을 높여야 한다.
이 외에도 구강 구조나 신경 위치 등을 고려해 시술 계획을 세워야 하고, 인공치근이 식립될 깊이와 각도 등을 세밀하게 조정한 후 안전성을 높여야 한다. 시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하더라도 스스로 사후관리를 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아 정기 검진을 자주 받고 올바른 구강 관리법을 배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군산 서울에스원치과 권영선 원장은 16일 본지와 서면 인터뷰에서 “노인 임플란트 시술은 고려할 사항이 많아 원내 시설이 우수하고 임상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이 상주하는 치과에 방문하는 것이 좋다”며 “만 65세 이상은 건강보험이 적용돼 비용 부담이 낮으므로, 의료진과 논의 후 시술 계획을 세워야 하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