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최근 코성형 후 부작용으로 재수술을 고민하는 사례가 늘면서, 성형외과 전문의들은 환자 상태에 맞는 재료와 수술 방법을 신중히 선택하는 것이 재수술과 합병증 위험을 줄이는 핵심이라고 밝혔다.
코성형은 코의 높이만 조절하는 절차가 아니라 해부학적 구조와 호흡 기능을 함께 고려하는 복합 수술이다. 첫 수술에서 과도한 보형물을 사용했거나 피부·연골 상태 평가가 부족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며 보형물 비침, 코끝 홍조, 염증, 비대칭, 구축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복합적으로 발생하면 정밀한 계획과 고난도의 술기가 필요한 코 재수술이 불가피해진다.
구축코는 대표적 합병증으로, 연부조직이 수축해 코가 짧아지거나 들창코처럼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염증이나 혈류 장애가 원인이며, 심한 경우 피부가 얇아지거나 보형물이 돌출될 수 있다. 이전 수술 재료와 절개 범위, 흉터, 남아 있는 연골과 피부 탄력 등 변수를 면밀히 분석한 뒤 단계적으로 교정해야 한다.
최근에는 기존 보형물을 제거하고 자가조직을 활용하는 무보형물 코수술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비중격 연골, 귀 연골, 늑연골 등을 조합해 구조를 재건하는 방식으로, 조직 적합성 측면의 장점이 있지만 환자별 연골의 양·질, 피부 두께, 흉터 정도에 따라 한계가 존재한다. 충분한 조직이 확보되지 않으면 목표한 형태를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계획 수립 단계에서 현실적인 기대치 설정이 필요하다.
강남 코웰성형외과 강창균 대표원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첫 수술이든 재수술이든 계획 단계에서 숙련된 성형외과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하고, 현재 코 상태와 과거 수술 이력을 바탕으로 맞춤형 수술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재수술은 연골 재건이나 피부 연장 등 고난도 술기가 동반돼 수술 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만큼, 해당 분야의 임상 경험이 검증된 의료진을 선택해야 안전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코는 호흡과 직결된 기관이어서 과도한 보형물 사용이나 구조적 불균형은 비중격 만곡, 코막힘 등 기능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수술 전후에는 비강 기능 평가와 염증 관리, 흉터·부종 경과 관찰 등 체계적 관리가 요구된다. 초기부터 충분한 정보 수집과 신중한 결정이 이뤄져야 불필요한 재수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