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경상남도는 29일 창녕함안보와 칠서 취수장을 찾아 낙동강 유역의 녹조 확산에 따른 대응 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현장을 찾은 박완수 도지사는 “녹조 상황 속에서도 도민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정수처리 공정을 철저히 관리해 여름철 수돗물로 인한 불편이 없도록 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수질 변화에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현장 점검에는 경남도 환경산림국장, 한국수자원공사, 창원시 관계자 등이 함께했으며, 박 지사는 조류경보 발령 지점과 수돗물 공급 핵심 시설을 둘러보며 관계자들로부터 대응 추진 상황을 보고받았다.
첫 번째 방문지인 창녕함안보는 유역면적 2만697㎢, 저수용량 1억900만㎥ 규모의 낙동강 수계 핵심 시설로, 박 지사는 이곳에서 녹조 확산 현황과 보 운영 상황을 점검했다.
이어 박 지사는 하루 44만㎥의 원수를 낙동강에서 끌어들이는 칠서 취수장을 방문해 녹조 유입 차단 실태를 직접 확인했다. 이 자리에서 조류차단막, 수면교란장치, 조류독소 모니터링 체계 등을 살펴보며, 수돗물 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박 지사는 “매년 되풀이되는 녹조에 대한 도민 불안 해소를 위해 낙동강유역환경청과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녹조 제거 신기술을 개발해 녹조 대응에 앞장 서달라”고 주문했다.
현재 낙동강 유역에서는 8월 21일 물금매리, 8월 28일 칠서 지점에 조류경보 ‘경계’ 단계가 발령된 상태다. 경남도는 이에 따라 수돗물 안전 확보를 위한 총력 대응 체계를 가동 중이다.
도는 수질오염원 특별점검과 정수처리 강화,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등을 통해 녹조 유입을 차단하고 있으며, 녹조제거선 운영과 댐·보 연계 방류 등으로 녹조 확산 억제에 나서고 있다.
한편, 환경부는 녹조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연말까지 ‘녹조 종합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낙동강을 중심으로 4대강 재자연화를 포함한 종합 대응 기반을 새 정부 임기 내 마련하는 것이 목표이며, 녹조 발생이 가장 심각하고 1,300만 영남권 주민들의 주요 식수원인 낙동강을 중심으로 우선 마련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첫 단계로 조류경보 발령 체계 개편 등 제도 개선을 추진 중이며, 경남도도 이에 발맞춰 관련 내용을 도의 녹조 대응 총괄 계획에 즉시 반영하고, 보다 촘촘한 대응 체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경남도는 앞으로도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조류 확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도민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 공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