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플란트 기술이 발전하고 대중적으로 시술되고 있지만, 자연치아 유지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자연치아가 인공치아에 비해 우월한 부분은 바로 감각 기능이다. 음식을 저작하는 데 있어서 온도나 단단한 정도를 감지할 수 있고 문제가 생기면 바로 통증이나 시린 증상이 느껴지므로 빠르게 치료할 수 있다. 인공치아로 대체하면 이러한 부분이 충족되지 않아 만족감이 떨어지게 된다.
치아 내부의 치수조직에 문제가 생기면 우리가 흔히 신경치료라고 부르는 근관치료를 받아 치아를 보존할 수 있다. 근관치료를 받은 치아에 다시 한번 치근단 농양 같은 문제가 생기면 재근관치료나 미세 치근단 수술과 같은 치료를 받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만약, 위의 치료로 해결할 수 없을 정도로 염증이나 손상이 심각한 경우 마지막으로 발치 전 시행하는 시술이 바로 치아재식술이다.
치아재식술은 보존치료 중 하나로, 치아를 일차적으로 발치한 후 구강 외에서 뿌리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한 후 다시 식립하는 과정으로 이뤄진다. 신경치료 후 통증이나 염증이 지속되거나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거부감이 큰 경우 치아재식술이 적절한 대체제가 될 수 있다.
신경치료의 경우 시술자 감각에만 의지해야 했으며, 감염된 조직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 재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재식술의 경우 눈으로 직접 보면서 치료하므로 치아 주변과 치조골 속 작은 염증 조직까지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치아재식술은 그 난도가 매우 높고, 무조건 모든 케이스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숙련된 의료진과 치아, 치주 상태를 살펴본 후 재식술 진행이 가능하다면 섬세한 계획을 세워 진행해야 한다.
치아재식술 역시 만능치료법은 아니다. 통증이나 염증이 재발하는 경우도 있고, 재식 후 단단하게 자리 잡지 못하거나 치근 흡수와 같은 부작용이 생기기도 한다. 하지만 전문의에게 원칙에 맞기 시행된다면 10년 이상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고려해 볼 가치는 충분하다. (분당 진서울치과 박진우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