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묘영 진주시의원, 애물단지 공유킥보드…질서 잡을 대책 시급

  • 등록 2025.09.09 16:34:40
크게보기

진주 1600대 넘는 전동킥보드…“공유경제 탈 쓰고 시민안전 위협” 비판

 

[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공유 전동킥보드가 진주 도심 곳곳에서 무질서하게 방치되고 교통약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이 빈번해지자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진주시의회에서 나왔다.

 

강묘영 진주시의원은 9일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전동킥보드는 편리한 차세대 교통수단이지만, 이제는 주차 무질서와 불법 운행으로 시민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애물단지가 되고 있다”며 제도적 개선에 나설 때라고 짚었다.

 

현재 진주에는 6개 업체에서 1650대 이상의 공유형 전동킥보드를 운영 중이다.

 

그러나 점자블록이나 횡단보도 앞, 버스정류장 한가운데 무단 방치되거나, 안전모 없이 2명이 탑승하거나 청소년이 무면허로 운행하는 모습이 흔히 목격되며 시민들의 우려를 일으키고 있다.

 

더군다나 전국적으로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개인형 이동장치(PM) 관련 사고는 2018년 225건에서 2023년 2389건으로 10배 넘게 늘었으며 같은 기간 24명이 사망했다.

 

지난해 서울시의 여론조사에서는 시민의 90%가 공유형 전동킥보드를 부정적으로 인식했고, 민간 대여 킥보드 운영 금지를 무려 75%가 찬성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강 의원은 “편리함 뒤에 숨은 위험을 이제는 바로잡아야 할 때”라며 ▲상업지구·환승정류장·대학가 등에 지정 주차구역을 단계적으로 확충하고, 구역 외 반납은 차단할 것 ▲어린이보호구역, 전통시장 등 취약 지역은 속도를 강제 저속화하거나 주행을 전면 제한할 것 ▲안전모 미착용, 무면허, 2인 탑승, 인도 주행 등 위반행위를 무관용 단속할 것 ▲면허 소지자 안전교육 정례화 및 학교·직장 연계 캠페인으로 이용 문화를 바꿀 것 등 4가지 대책을 제시했다.

 

강 의원은 “안전은 행정과 사업자, 시민 모두의 책임”이라며 “진주시가 질서 있는 이용 문화를 선도해 전동킥보드를 위험이 아닌 자산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지영 수습기자 choi@vegannews.co.kr
Copyright 비건뉴스.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제호 : 비건뉴스 | 주소 : 03196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222, 2층 25호(종로5가, 광동빌딩) | 대표전화 : 02-2285-1101 등록번호 : 서울, 아 05406 | 등록일 : 2018.09.26 | 발행인·편집인 : 서인홍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유리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홍다연 02-2285-1101 vegannews@naver.com

비건뉴스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1 비건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desk@veg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