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치아를 모두 잃은 무치악 상태는 식사와 발음, 표정에 영향을 주며 사회적 자신감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고령층이나 만성 치주질환 환자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치료 필요성이 크다. 최근에는 전체 치아를 대체하는 무치악임플란트가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무치악임플란트는 상악과 하악에 각각 8~12개의 인공치근을 식립해 전체 치아를 대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틀니와 달리 턱뼈에 직접 고정돼 안정성이 높고 저작력도 강하다. 이물감이 적고 발음 개선 효과도 보고돼 식사 중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최근에는 3D 스캐닝과 시뮬레이션 기반의 네비게이션 수술이 도입돼 수술 전 단계에서 뼈의 위치와 신경 구조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전성과 정확성이 향상됐으며, 회복 기간도 단축되는 추세다.
다만 무치악 환자의 상당수는 턱뼈 흡수가 동반돼 뼈이식이나 골재생술이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치료 기간이 길어지지만 장기적으로는 자연스럽고 튼튼한 치아 기능 복원이 가능하다. 기능뿐 아니라 심미적 개선으로 외모적 자신감 회복에도 도움이 된다.
세이프플란트치과의원 김태연 원장은 “무치악임플란트는 치아 복원뿐 아니라 삶의 질을 회복하는 치료라 볼 수 있다”며 “특히 틀니 불편을 겪는 고령층 환자에게 적합하며, 네비게이션 수술을 통한 정밀한 접근으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치료 전 환자의 구강 상태와 생활습관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계획 수립이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