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라이언, 5천번째 파워 배터리팩 생산으로 이정표 달성...신에너지 부품 포트폴리오 공개

  • 등록 2025.10.26 02:55:00
크게보기

[비건뉴스=PR Newswire] 창사, 중국 2025년 10월 26일 -- 줌라이언 중공업 과학기술(Zoomlion Heavy Industry Science & Technology Co., Ltd., 이하 "줌라이언", 1157.HK)이 창사에서 5천번째 파워 배터리팩 생산을 기념하는 행사를 열고, 핵심 신에너지 부품 신제품 포트폴리오를 공개하며 친환경 혁신과 고급 장비의 전기화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

 

5천번째 파워 배터리팩 출고는 핵심 부품, 시스템 개발, 현장 적용을 통합한 청정에너지 생태계 구축에서 줌라이언의 진전을 보여준다. 자체 개발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정밀한 셀 모니터링과 지능형 충전/방전 제어를 통해 극한 기상 조건에서도 배터리팩의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한다. 안전성, 통합성, 수명, 호환성이 향상된 이 배터리팩은 현재 크레인, 콘크리트 장비, 농업 기계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줌라이언 신에너지 기술개발(Zoomlion New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의 린용(Lin Yong) 사장은 "줌라이언의 파워 배터리팩은 신뢰성과 다용도성에 초점을 맞춰 설계됐으며, 동급 대비 20% 더 긴 사이클 수명을 자랑한다"라며 "신에너지 버스 및 건설기계에 성공적으로 적용됐고 고객 반응도 매우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배터리 기술의 이정표 외에도 줌라이언은 리튬 파워, 전기구동 시스템, 수소 에너지에 이르는 핵심 신에너지 부품의 새로운 구성을 선보였다. 이번 출시는 줌라이언의 "전체 스택 혁신, 전체 시나리오 호환성" 전략을 반영한다.

 

 

리튬 배터리 솔루션 분야에서 줌라이언은 전 스펙트럼 호환성과 -40°C~60°C 온도 범위를 지원하는 'Xiaoyun' 하이브리드-농업용 팩, 상업 운영 260만 km 이상 검증을 완료한 140~800kWh의 유연한 확장을 지원하는 'Standard Box' 시리즈, 강력한 구조적 안전성과 까다로운 광산 환경에 맞춤화된 자체 관리 시스템을 갖춘 'Mining' 시리즈 등 세 가지 주요 시리즈를 출시했다.

 

전기 구동 시스템에는 120kW 릴럭턴스 플랫와이어 모터, 300kW 듀얼 모듈 메인 드라이브 컨트롤러, 700kW 전기 광산 트럭 파워트레인 등 고효율•고밀도 모터 및 제어 시스템이 포함한다. 이러한 생태계의 핵심은 초당 1천회 이상의 동적 조정이 가능한 6코어 칩으로 구동되는 새로 공개된 도메인 제어 플랫폼으로, 모든 전기기계에 걸쳐 원활한 다중 도메인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줌라이언은 생산, 충전, 사용을 아우르는 풀라인 수소 솔루션도 선보였다. 이 시스템에는 소형 전해조, 첫 고압 충전소, 300kW 연료전지 파워 유닛이 포함되어 교통•에너지 분야에 새로운 저탄소 옵션을 제공한다.

 

줌라이언은 이번 출시 및 신규 부품 공개를 통해 지속적으로 혁신을 추진하고 핵심기술을 통해 산업 전환을 선도하고 있음을 재차 입증했다.

 

PR Newswire vegannews@naver.com
Copyright 비건뉴스.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제호 : 비건뉴스 | 주소 : 03196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222, 2층 25호(종로5가, 광동빌딩) | 대표전화 : 02-2285-1101 등록번호 : 서울, 아 05406 | 등록일 : 2018.09.26 | 발행인·편집인 : 서인홍 |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최유리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홍다연 02-2285-1101 vegannews@naver.com

비건뉴스의 모든 콘텐츠(영상, 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1 비건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desk@vega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