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최근 기온이 내려가면서 요로결석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기온이 낮아지면 갈증을 덜 느끼고 수분 섭취량이 줄어 소변이 농축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동량 감소에 따른 칼슘 대사 변화도 결석 형성 요인으로 알려져 결석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한스비뇨기과 한지엽 원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추운 날씨에는 땀 배출이 줄어들면서 자연스럽게 물을 마시는 양이 감소해 소변 농도가 짙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원장은 “난방으로 실내가 건조해질 경우 체내 수분 손실이 더해져 결석 형성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요로결석은 옆구리 통증, 혈뇨, 구역감, 배뇨 시 통증 등을 유발하며, 결석이 커지면 감염 위험이 커질 수 있다. 한 원장은 “옆구리 통증이나 혈뇨 등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에서 소변 검사와 X선 검사를 통해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또한 결석의 크기가 작고 요로 폐쇄가 심하지 않다면 대기 요법을 선택할 수 있으나, 통증이 심하거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적극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 원장은 “결석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보전적 치료 또는 체외충격파쇄석술을 적용할 수 있다”며 “체외충격파쇄석술은 결석 부위에 충격파를 전달해 잘게 분쇄한 뒤 배출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1회 시술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지만 크기와 위치에 따라 2~3회가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유사 시술의 특성상 개인별 결석 상태에 따라 치료 계획이 달라질 수 있어 전문의 진단을 통한 적절한 관리가 요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