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유럽에서 적극적인 탄소배출 감축이 이뤄질 경우, 오는 2050년까지 매년 최대 25만 명의 조기사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리즈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지구의 미래'(Earth's Future)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적극적으로 줄이면 기후변화 대응뿐 아니라 공기 질을 크게 개선해 공기오염으로 인한 사망률까지 감소시키는 이중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유럽 전역의 주요 공기오염 물질인 미세먼지와 지표면 오존이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뒤, 2050년의 공기 질 상황을 저감 시나리오 수준에 따라 저강도·중강도·고강도 세 가지로 나눠 예측했다.
연구 결과, 탄소배출 감축 강도가 높아질수록 공중보건에 미치는 혜택이 더욱 뚜렷해졌다. 특히 농업 부문의 오염물질 배출 감축까지 포함한 고강도 감축 시나리오에서 가장 큰 공기 질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이번 연구는 유럽 내에서도 빈곤 지역이 탄소배출 감축 정책으로 인한 공기 질 개선 효과를 가장 크게 볼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빈곤 지역은 공기오염 피해가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곳으로, 강력한 감축 정책을 통해 사회적 불평등 문제까지 일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공기오염은 현재 전 세계에서 매년 약 800만 명의 조기 사망을 초래하는 가장 심각한 환경적 위험요인이다. 특히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 물질은 폐를 통해 혈류로 침투해 암, 심혈관 질환, 만성 폐질환 등 심각한 질병 발생률을 높인다.
연구를 주도한 짐 맥퀘이드 박사는 "이번 연구는 탄소배출 감축 정책이 단순히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건강을 보호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줄이는 중요한 수단이라는 점을 강조한다"며, "특히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공기오염 피해가 큰 취약 계층이 가장 큰 혜택을 누리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동 연구자인 코너 클레이턴 박사과정생은 "정책입안자들이 탄소배출 감축을 추진할 때, 공기 질 개선 효과뿐만 아니라 계층 간 노출 격차 완화를 목표로 하는 전략을 함께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유럽 각국이 향후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세울 때, 탄소중립 사회 구축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