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무릎은 체중을 지탱하며 걷기, 뛰기, 앉기 등 대부분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관절로, 반복 사용과 생활습관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무릎 관절염은 주로 중장년층에서 발생하지만, 체중 증가와 운동 부족, 관절 과사용 등으로 젊은 층에서도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다. 초기에는 증상이 가볍거나 일시적으로 나타나 방치되기 쉬우나, 치료가 늦어지면 연골 마모와 관절 운동 제한으로 일상생활 불편이 심해질 수 있다.
구리 이지정형외과 박근현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무릎 관절염은 조기에 발견해 치료를 시작하면 관절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며 “특히 비수술 치료만으로도 통증을 줄이고 증상 악화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대표적 치료법에는 주사 치료,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물리치료 등이 있으며, 환자의 증상과 연골 손상 정도에 따라 병행된다.
주사 치료는 관절 내 염증을 완화해 빠른 통증 감소를 돕고, 도수치료는 근육과 인대를 이완해 관절 부담을 줄이며 가동범위를 회복시키는 방식이다. 체외충격파 치료는 조직 재생과 혈류 개선을 촉진해 통증을 줄이고, 물리치료는 온열·전기 자극을 통해 혈액순환과 염증 완화를 돕는다.
박 원장은 “무릎 관절염은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반복되면 진단을 받아야 한다”며 “주사 치료와 도수치료를 병행하고 허벅지 근육 강화 운동이나 자세 교정을 함께하면 증상 완화와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이어 “계단 이용, 장시간 서 있기, 쪼그려 앉기 등 무릎 부담을 주는 습관을 줄이고 스트레칭으로 관절 가동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관절염은 노화로만 발생하는 질환이 아니며, 젊은 층에서도 비만과 잘못된 자세가 누적되면 연골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무릎 통증, 뻣뻣함, 소리 나는 증상이 반복된다면 방치하지 말고 의료기관 진료를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기 대응을 통해 비수술 치료만으로도 무릎 기능을 회복하고 관절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초기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