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최근 자궁근종 치료 시, 자궁근종로봇수술이 대세가 돼 버린 상황에서 전신마취나 절개없이 자궁근종, 자궁선근증을 치료할 수 있고 회복이 빠르다는 점에서 비수술적 치료인 하이푸 시술을 선호하는 환자들이 종종 있다.
무엇보다 몇 년 전만해도 무조건 복강경수술이나 개복수술과 같은 수술적인 접근으로 자궁근종제거가 주 치료목적이였던 시절과 달리 절제가 가능한 위치에 생긴 근종 외에, 위치상 애매한 곳에 발생된 자궁근종 같은 경우 기존약물치료인 호르몬치료 병행과 비수술적인 치료방법으로 하이푸시술은 자궁선근증 치료에 있어 적출없이 가임력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비수술적치료가 가능한 유일한 치료방법이다.
그렇다면, 이 비수술적인 치료방법인 하이푸 시술은 부작용이 없는 걸까? 물론, 절개를하는 수술에 비해 부작용이 적을 수는 있지만, 모든 수술과 시술이 그러하듯 하이푸 시술 또한 자궁 주변 장기인 장과 신경 그리고 착상이 이루어지는 자궁내막과 임신 유지 과정에서 중요한 자궁근육층 손상 등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충분히 사전에 예방이 가능하고, 하이푸치료가 자궁내막과 근육층을 피해서 정확하게 병변만을 제거하면 자연분만이 가능할 정도로 자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만 의료진의 오랜 케이스노하우와‘정확한 하이푸 치료’가 진행돼야 한다는 전제가 뒤따른다.
청담산부인과 김민우 대표원장은 3일 본지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우선 하이푸 시술은 절개해 병변을 절제하는 수술이 아니기 때문에, 자궁근종 및 자궁선근증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히 관찰할 수 있는 영상장비(초음파 또는 MRI)와 초점구역이 좁은 하이푸 장비로 진행되는지가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아무리 같은 장비로 시술이 진행됐다고 해서 모두가 동일한 효과를 내는 것은 아니고, 시술 의료진의 숙련도와 치료 중 순간적인 판단에 따라 치료 효과는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치료 전에는 반드시 해당 병원 의료진의 경험을 바탕으로 부작용 사례는 있었는지, 치료 후 임신/출산 사례는 있었는지도 꼼꼼해 의료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좋다.
또한 대부분의 자궁근종이나 자궁선근증이 하이푸 시술로 치료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병변의 크기와 위치, 타입 등에 따라서 효과가 떨어지거나 수술적인 절제가 더 적합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자궁근종 비수술적치료 방법인 하이푸시술을 고려중이라면 MRI와 초음파를 이용한 정밀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병변의 타입, 위치, 크기, 증상, 과거 수술력, 향후 임신계획 등을 모두 종합해 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3~4cm 이하의 ‘점막하 자궁근종’의 경우에는 자궁경을 통해서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자궁내강으로 위치한 크기가 큰 근종은 프리미엄 하이푸 치료를 통해 크기를 줄인 후 자궁경 치료로 잔여병변을 제거하면 좀 더 빠른 임신을 계획할 수 있다.
이처럼, 하이푸시술 후에는 경과 추적관찰도 중요하다. 수술적인 절제와 달리 하이푸시술 후에는 근종이나 선근증이 줄어드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치료 후에는 경과를 지켜보게 되는데, 대게는 시술 3~6개월까지의 경과가 중요하고, 시술 후에는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빠른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김 원장은 끝으로 ”근육 내 근종은 하이푸 시술 후 3개월 이내면 임신을 계획할 수 있지만, 자궁내강으로 근종이 위치한 경우에는 착상에 방해가 될 수 있어 잔여 병변이 모두 없어진 후, 임신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