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이용학 기자] 관절 염증성 질환 중 가장 빈도가 높은 퇴행성 관절염은 종류에 따라 일차성(특발성), 이차성(속발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차성 관절염은 나이, 성별, 유전, 비만 등이 일부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주로 과도한 관절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반면 이차성 관절염은 교통사고,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동작을 하는 운동을 하거나 직업을 가진 경우 등 외부의 큰 충격이 가해졌을 때 발생한 상처 부위로 세균이 침입하는 것에 해당한다.
주된 증상은 무릎 주변의 통증으로 주로 관절을 움직일 때나 무리하게 사용했을 때 통증이 있는 것인데 초기에는 잠시 휴식을 취하면 이내 증상이 가라앉는다. 이후 중기로 갈수록 가만히 있어도 뻐근한 통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말기에는 조금만 걸어도 관절 통증이 심하며 연골이 닳은 상태이기 때문에 다리 모양이 O자 형태로 변형돼 뒤뚱뒤뚱 걷게 된다.
치료의 경우 초, 중기에는 사용할 수 있는 연골이 남아있기 때문에 보존적인 치료를 하게 되는데, 관절이 많이 닳은 중기이고 통증이 심하거나 말기에 해당한다면 인공관절 수술을 통해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인공관절 수술은 손상된 연골을 대신해 인체에 무해한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방법이다. 60년 이상 수술법이 발전되면서 오랜 역사 기간 동안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이 됐고, 환자의 만족도와 관절 안정성 회복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인공관절을 연구 및 제작하는 것부터 로봇 인공관절 수술까지 업계 연구가 활발히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한국인에게 맞는 PNK 인공관절이 개발됐다.
PNK 인공관절은 좌식생활 습관을 가진 한국인에 맞춰 개발이 된 것으로, 150도 고굴곡이 가능하며 동양인의 무릎 관절 크기나 연골 두께 등에 최적화된 설계를 적용했다. PNK의 경우 베어링 사이즈 호환을 줄이며 개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개발하게 돼 선택지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인공관절 마모율을 줄이고, 수명도 길어 환자 무릎 상태나 크기 등에 따라 맞춤 수술을 할 수 있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은 “인공관절은 지난 60여 년 역사 동안 1, 2, 3세대에 걸쳐 발전했는데 1, 2세대는 인공관절 베어링을 전 사이즈에 호환이 되게 만든 것이 한계점으로 적용됐다”며 “수술 시에는 자신에게 맞는 인공관절을 택하는 것과 함께 이후 재활치료를 통한 회복에도 많은 신경을 쓸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