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도시에서 소비되는 육류의 공급 경로를 바꾸는 것만으로도 탄소배출량을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시간대와 미네소타대 공동 연구진은 최근 국제학술지 ‘네이처 클라이밋 체인지(Nature Climate Change)’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이러한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진은 ‘푸드시스템 공급망 지속가능성(FoodS3)’ 모델을 활용해 미국 내 3531개 도시의 육류 이동 경로를 정밀 추적했다. 농장에서 사육된 가축이 도축·가공을 거쳐 도시 소비자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을 탄소 배출 기준으로 정량화한 것이다. 그 결과 미국 도시들이 육류 소비로 인해 연간 3억 2900만톤의 이산화탄소(CO₂) 상당 배출량을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화석연료로 인한 전체 배출량과 비슷한 규모다. 도시별 1인당 배출량은 500킬로그램에서 최대 1700킬로그램까지 차이를 보였다. 연구를 이끈 미시간대 벤저민 골드스타인 연구원은 “도시의 환경 영향을 측정하고 줄이기 위한 정책 설계에 이번 연구 결과가 큰 의미를 갖는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육류 섭취량보다 ‘어디서 생산된 육류를 공급받는가’가 배출량에 더
								
				[비건뉴스 서인홍 기자] 기후위기가 심각해질수록 정부나 지구온난화를 부추기는 관련 산업에 대한 기후 소송도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 연구기관인 런던 정경대의 '그래덤 기후변화와 환경연구소'가 30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진행 중이거나 판결이 나온 기후소송은 총 2022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5년의 배에 달하는 규모로, 소송의 4분의 1은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 의식이 높아진 최근 2년 이내에 집중적으로 제기됐다. 기후 소송이 제기된 국가는 총 44개국으로, 2002건 중 1426건이 미국에서 제기됐다. 나머지 576건의 소송은 이탈리아와 덴마크 등 43개국과 유럽연합을 포함한 국제기구에 제기됐다. 개발도상국에서 제기된 소송 건수는 88건으로 남미 지역 47건, 카리브해 지역 47건, 아태지역 28건, 아프리카 13건 등이 제기됐다. 보고서는 미국 외 지역에서 제기된 소송 454건의 소송 결과를 분석한 결과, 54%(245건)가 '기후 행동에 유리한' 판결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동안 제기된 기후 소송은 공통적으로 기후 목표에 대한 국가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고, 화석연료 폐지를 주장했으며 기후 정책의 진전이나 기후변화에 대한 대중적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