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오염 식품 환경영향 오해 지속…연구진, 직관과 과학 간 격차 지적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소비자가 식품의 환경영향을 과대 혹은 과소 평가하는 경향이 반복적으로 나타났다는 연구가 확인됐다. 영국 노팅엄대 연구진은 최근 소비자 인식의 오류가 두 가지 인지적 단축경로에서 비롯된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단순하고 통일된 환경 라벨링이 직관과 과학적 정보 간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는 영국 소비자 168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카드 분류 방식을 적용했다. 참여자들은 44종의 일반 식품 이미지를 분류한 뒤, 제품별 과학적 영향 수치를 확인하고 예상보다 높거나 낮은지 평가했다. 노팅엄대 연구팀은 참여자들이 환경영향 정보를 본 이후 구매 의향이 일부 조정됐다고 설명했다. 연구에서 소비자 인식은 두 가지 축으로 구분됐다. 하나는 동물성·식물성 원재료에 따른 구분이고, 다른 하나는 가공 정도에 따른 분류였다. 연구진은 다차원 척도법을 활용해 음식 간 인식 구조를 분석했으며, 원재료 성격과 가공 수준에 따른 명확한 분리 양상이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연구팀은 소비자가 포장이나 공정 단계를 과도하게 떠올리는 반면, 사료·퇴비·메탄 등 농장 단계의 영향은 즉각적으로 떠올리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와 같은 인식 차이로 인해 훈제 스낵과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