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오염 대기 중 CO2 증가…식량 영양 저하 우려 커져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면서 주요 식량작물의 영양 성분이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네덜란드 라이다인대학 연구진이 다양한 실험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로, 식량 공급량과 별개로 영양 저하가 진행될 가능성이 지적됐다. 연구는 지난 수십 년 사이 상승한 CO2 농도가 작물 생장 속도와 성분 변화를 동시에 유발해 영양 밀도를 낮추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여러 지역과 조건에서 수행된 다수의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했다. 장소·기후·재배 방식이 달랐지만 전반적인 추세는 동일하게 나타났다. CO2 농도가 상승하면 작물은 탄수화물 비중이 늘고 각종 미네랄과 단백질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곡류, 과일, 뿌리작물, 잎채소 등 다양한 작물군에서 이 같은 공통 효과가 확인됐다. 특히 아연과 철 등 일부 미네랄 감소는 뚜렷했다. 일부 작물에서는 아연이 최대 3분의 1가량 줄어든 사례도 보고됐다. 반면 납·크롬 등 위해 금속 성분이 소폭 증가한 실험도 있어 장기적 건강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라이다인대학 연구진은 이러한 변화가 주식 작물에 의존하는 지역일수록 더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