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오염 유럽연합, 기후교육 의무화…한국은 여전히 선택과목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유럽연합(EU)이 오는 2025년부터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기후교육을 정규 교과에 포함하기로 하면서 교육 체계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번 조치는 EU의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반영된 것으로, 27개 회원국이 공동으로 추진한다. 학생들은 기후과학의 기본 원리부터 지역사회 영향, 녹색 일자리와의 연계성까지 폭넓게 배우게 된다. NDC에는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적응, 사회·교육 정책이 통합돼 있으며, 교육이 포함될 경우 교사 연수, 학습 자료, 평가 기준 등이 기후정책 이행 지표로 관리된다. 이는 기후교육이 선택적 프로그램이 아니라 필수 정책으로 기능하게 되는 구조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교육 및 기후 관련 부서를 중심으로 학교 교육과정이 장기적인 기후 목표와 부합하도록 조정하고 있다. 관계자는 “기후교육은 미래 세대의 대응 역량을 높이는 핵심 기반”이라고 밝혔다. EU는 특히 녹색기술(Green Skills) 양성을 핵심 목표로 제시했다. 학생들은 에너지 효율 관리, 지속가능한 농업, 기후 친화적 교통 설계 등 실제 적용 가능한 기술을 배우게 된다. 세계은행은 최근 분석에서 교육이 행동 변화와 혁신의 기반이라고 평가하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