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최근 항산화 영양소 섭취가 폐경 시기와 생식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이번 분석은 미국에서 수집된 대규모 건강·영양 조사자료를 기반으로 진행됐으며, 항산화 영양소가 폐경 시기를 늦추는 데 일정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를 통해 알려졌다. 연구팀은 미국 국립건강영양조사(NHANES)에 참여한 폐경 이후 여성 4514명의 자료를 활용해 분석을 실시했다. 참여자들의 평균 초경 시기는 약 13세, 평균 생식 기간은 약 36.5년으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식이 항산화 지수를 활용해 아연, 셀레늄, 비타민A·C·E, 카로티노이드 등 6개 항산화 영양소의 섭취량을 종합 검토했다. 분석에 따르면 항산화 지수가 높은 집단일수록 폐경 시기가 평균 1년가량 늦고 생식 기간도 약 1년 길게 나타났다. 생활습관과 인구학적 요인을 보정한 이후에도 동일한 경향이 유지됐으며, 항산화 섭취가 많은 집단은 이른 폐경(45세 이전) 위험이 가장 낮은 집단보다 약 27%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항산화 섭취 증가가 무한정 효과를 높이진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항산화 지수 1.05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지중해식 식단을 꾸준히 실천한 여성들이 자궁내막증 발병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과일·채소·콩류 등 식물성 식품 위주의 균형 잡힌 식단이 염증 완화와 생식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최근 게재됐으며, 이란 여성들의 지중해식 식단 준수 정도와 자궁내막증 발생 위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건강한 식단을 유지할수록 자궁내막증 발병 확률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과 유사한 조직이 자궁 외부에 자라 통증과 불임을 유발하는 만성 질환으로, 가임기 여성의 약 10%가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병에는 호르몬·염증·면역 반응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며, 유전과 환경 요인이 모두 영향을 미친다. 연구진은 이란 테헤란 지역 여성 345명을 대상으로 병원 기반 사례-대조군 연구를 수행했다. 이 중 자궁내막증이 수술 또는 조직검사로 확인된 105명과 질환이 없는 대조군 208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됐다. 연구 대상은 모두 18세 이상 49세 이하의 비임신·비수유 여성으로, 주요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