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박민수 기자] 톱텍이 글로벌 배터리 파운드리 시장 확장에 발맞춰 모듈 자동화 공정 고도화에 나선다. 기존 전기차(EV)·에너지저장장치(ESS)를 넘어 드론, 방산, 항공우주 등 특수 목적 배터리 수요까지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재환 톱텍 사업본부 부사장은 1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글로벌 배터리 파운드리 포럼’에서 이 같은 구상을 밝혔다. 이 부사장은 “배터리 셀과 모듈·팩은 제조 관점에서 전혀 다른 특성을 가진다”며 “특히 모듈·팩 공정은 자동화 여지가 커 파운드리 형태의 전문 생산 체제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톱텍은 현재 EV 및 ESS에 적용되는 모듈 생산 기술을 바탕으로, 다품종 소량생산 구조에 적합한 유연 생산라인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모듈 생산라인은 △셀 적층 △버스바 용접 △프레임 접합 △끝단품(EOL) 검사 등 4대 주요 공정으로 구성되며, 자동화 효율성 확보가 관건이다. 이 부사장은 “초기 모듈 수율이 70∼80% 수준에 불과해 자동화 기술의 정밀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기차 사양에 따라 모듈 수와 조립 방식이 달라지는 만큼, 동일 라인에서 다양한 사양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중견 장비업체 톱텍(대표이사 정지용)이 SK온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 공장 모듈 라인 장비 수주에 성공했다. 이번 계약 규모는 약 740억원으로, 올해 첫 대규모 수주로 주목받고 있다. 톱텍이 수주한 공장은 SK온과 포드의 합작사인 블루오벌SK의 켄터키 1공장으로, 이곳에는 총 43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 생산 공장 두 곳이 마련될 예정이다. 현재 1공장에는 16개의 생산라인이 설치돼 있으며, 이 중 절반인 8개 라인은 닛산용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톱텍은 파우치형 배터리 모듈 장비를 공급할 계획이며, 이 장비는 배터리의 '셀-모듈-팩' 조립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셀을 모듈로 조립하는 과정에 물류 로봇, 접착 디스펜서, 냉각 부품, 고전압 전송용 버스바(Bus Bar),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등이 포함된다. 이번 계약은 톱텍의 기술력과 신뢰성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됐으며, 경쟁사인 우신시스템과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점했다. 톱텍은 이미 기존 켄터키 1공장의 모듈 라인도 성공적으로 수주한 바 있다. 닛산은 미국 내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현지 생산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 내에서 생산하던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