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산업 COP30 "식물성 임농복합경영 전환, 브라질 농가 소득 확대 가능성"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브라질에서 축산 중심의 생산 구조를 식물성 임농복합경영으로 전환할 경우 농가 소득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이 COP30 회의에서 제시됐다. 이번 연구는 브라질 벨렘에서 공개됐으며, 특히 생산성이 낮은 방목지 전환 시 경제적 효과가 크게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기후 대응과 농가 소득 개선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전환 모델로 임농복합경영을 소개했다. 연구는 프로베그 브라질이 조정하고 농생태 협동조직(OCA)이 수행했다. 분석 결과, 축산을 대체하는 식물성 임농복합경영은 헥타르당 순소득이 최대 110%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생산성이 매우 낮은 목초지를 전환한 일부 사례에서는 1500% 이상 소득이 확대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연구진은 해당 수치가 지역 토양 조건과 기존 축산 생산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임농복합경영이 온실가스 순배출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축산업은 배출 비중이 높지만, 식물성 기반 시스템은 탄소 흡수량이 더 크기 때문이다. 프로베그 브라질 관계자는 “경제성과 기후 대응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일자리 창출 효과도 강조됐다. 임농복합경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