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비영리 단체 ‘카라큘라 애니멀 레스큐(ARC)’가 운영하는 A.R.C 임시보호소에서 유기견 11마리에 대한 중성화 수술이 진행됐다. 단체 측은 이번 수술을 위해 이른 아침부터 의료진과 협력해 신속한 절차를 마쳤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이번 수술은 보호소에서 돌보고 있는 수컷 강아지 11마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단체 측은 “의료진과 수의사들이 힘을 모아 단시간 내 모든 수술을 무사히 마쳤다”고 설명했다. 카라큘라 애니멀 레스큐 관계자는 “함께 수고해주신 여러 수의사님들과 의료진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이동 차량을 지원해 준 KG모빌리티 관계자분들께도 깊은 감사를 전한다”고 전했다. 단체는 이번 중성화 수술이 향후 보호소 내 개체 수 조절과 건강 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도 유기동물의 구조와 치료, 입양 연계 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중성화 수술이 유기동물의 번식 억제뿐 아니라 질병 예방과 사회화에도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설명한다. 동물보호단체들은 이러한 수술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입장을 꾸준히 내고 있다. 한국동물보호연합 관계자는 “민간 단체의 꾸준한 활동이 유기동물 문제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매년 11월 1일은 ‘세계 비건의 날(World Vegan Day)’이다. 1994년 영국 비건소사이어티(The Vegan Society)가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제정한 이 날은 단순한 채식 문화가 아닌, 환경 보호와 생명 존중, 지속가능한 소비의 의미를 되새기는 세계적인 기념일로 자리 잡았다. 최근 한국에서도 비건 인구와 관련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며, ‘비건’이 하나의 사회적 가치로 확장되고 있다. ‘비건(Vegan)’이라는 개념은 1944년 영국에서 설립된 비건소사이어티가 처음 제시했다. 단체는 육류뿐 아니라 달걀, 유제품 등 모든 동물성 제품을 배제하고, 가능한 한 동물 착취를 최소화하려는 생활방식을 지향했다. 이후 1994년 창립 50주년을 맞아 11월 1일을 ‘세계 비건의 날’로 선포하며 전 세계적인 비건 운동의 상징적 계기가 마련됐다. 현재 세계 각국에서는 이날을 중심으로 다양한 캠페인과 교육 프로그램이 펼쳐지고 있다. 비건소사이어티는 공식 자료를 통해 “비건은 식단을 넘어 인간과 지구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철학”이라고 밝히며, 지속가능한 사회 전환을 위한 실천적 운동으로 비건 문화를 강조하고 있다. 비건 인구는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초록잎채소는 엽산, 비타민 K, 식이섬유 등 필수 영양소를 풍부하게 함유한 식품으로, 신체 대사와 면역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하루 평균 채소 섭취량은 260g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성인이 채소와 과일을 합해 하루 최소 400g 이상 섭취할 것을 권장한다. 한국영양학회가 발간한 식품성분표(2023)에 따르면 시금치 100g에는 엽산이 118㎍, 청경채는 66㎍이 들어 있다. 성인 하루 엽산 권장량은 400㎍으로, 시금치 한 컵 분량(약 80g) 섭취 시 하루 필요량의 약 20%를 충족할 수 있다. 같은 자료에서 비타민 K 함량은 시금치 100g당 370㎍, 케일은 560㎍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 하루 권장량(120㎍,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2020)에 충분한 수준이다. 미국 농무부(USDA) 식품데이터베이스는 시금치와 케일에 베타카로틴, 루테인, 클로로필 등 항산화 물질이 다량 포함돼 있음을 제시한다. 이러한 성분은 세포 손상을 유발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데 기여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성분 자료(2023)에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생활용품 전문기업 크린랩이 100% 식물성 생분해 소재 PLA(폴리락틱애시드)로 만든 친환경 생수 ‘릴리프(Re:leaf)’를 출시하며 생수 신사업에 본격 진출했다. 크린랩은 이번 신사업을 통해 환경과 건강을 중시하는 가치소비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군을 확대하고, 친환경 생수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릴리프’는 ‘다시 자연으로 돌아간다’는 의미를 담은 브랜드로, 전 포장재에 100% 사탕수수 유래 PLA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PLA는 산업용 퇴비화와 바이오가스화가 가능한 생분해성 소재로, 석유 기반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용기로 주목받고 있다. 분해 후에는 물과 이산화탄소, 퇴비로 완전히 분해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인체 안전성도 입증됐다. PLA는 체내에서 젖산으로 분해·흡수되는 생체 흡수성 소재로 의료용 봉합사에도 사용될 만큼 안정성이 높다. 또한 국가 공인 시험연구원 KOTITI의 최소 검출 단위(5μm) 기준 테스트에서 미세 플라스틱 불검출 판정을 받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다. 수질 측면에서도 프리미엄 생수의 기준을 충족했다.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 인체에 필요한 천연 미네랄이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영국에서 고기 가격이 급등하면서 일부 식물성 단백질 제품이 오히려 더 저렴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런던의 자선단체이자 독립 싱크탱크인 ‘그린얼라이언스(Green Alliance)’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영국 내 육류 가격은 꾸준히 상승한 반면 식물성 단백질 제품의 가격은 오히려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이를 단순한 물가 변화가 아닌, 식품 산업의 구조적 전환을 위한 기회로 보고 있다. 그린얼라이언스는 지난 9월 ‘레시피 포 리질리언스(Recipe For Resilience): 영국의 번영하는 식물성 단백질 산업이 주는 이점’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최근 12개월간 영국의 단백질 식품 가격 변화를 분석하고, 생활비 부담 완화와 함께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식품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육류의 평균 가격은 1킬로그램당 1.18파운드 상승한 반면, 식물성 단백질은 같은 기간 0.14파운드 하락했다. 특히 소고기 가격은 33퍼센트나 급등해 모든 육류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소고기 대체 식품인 식물성 다진고기나 채식 미트볼은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 연구진이 공동 발표한 '2025 랜싯 카운트다운 보건과 기후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대한 미온적 대응이 이미 전 세계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WHO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기후 위기는 곧 건강 위기이며, 건강 중심의 기후 대응이야말로 가장 강력한 행동 근거”라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분석된 20개 주요 건강 지표 중 12개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 피해가 전 세계 보건 체계를 압박하고 경제적 손실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WHO 보건증진·질병예방 부문 제러미 패러 박사는 “기후 위기는 단순한 환경 문제가 아니라 생명과 생계의 문제”라며 “지금의 무대응은 이미 각국에서 수많은 인명을 앗아가고 있다. 그러나 기후 대응은 동시에 인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가장 큰 기회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보고서 주요 내용에 따르면, 1990년대 이후 열 관련 사망률은 23% 증가했으며, 매년 평균 54만6000명이 폭염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영유아와 노년층은 1인당 20일 이상 폭염에 노출되는 등 취약계층의 피해가 급증했다. 또한 20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지구 곳곳을 오염시키던 플라스틱이 이제는 에너지 저장과 환경 정화에 활용될 수 있는 탄소 자원으로 재탄생하고 있다. 최근 중국과학원 광저우에너지전환연구소와 화남이공대학 연구진이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는 폐플라스틱을 고부가가치 탄소소재로 전환하는 다양한 기술을 정리하며 ‘플라스틱의 순환 탄소화’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플라스틱을 단순한 폐기물이 아닌 ‘탄소 광산’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매년 3억9000만톤 이상 생산되는 플라스틱의 상당 부분이 매립되거나 소각되어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기계적 재활용은 품질 저하와 2차 오염 문제가 뒤따르고, 소각은 에너지 회수와 동시에 탄소배출을 늘린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연구진은 플라스틱의 주성분인 탄소를 회수해 재활용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 고온 열분해, 촉매 반응, 전기적 플래시 가열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해 플라스틱을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다공성 탄소, 탄소 양자점 등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광저우에너지전환연구소 가이슈 양(Gaixiu Yang) 박사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환경 부담이 아닌 지속 가능한 자원으로 바꾸는 것이 목표”라며 “첨단 탄소화 기술을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화장품 ODM 기업 코스맥스(회장 이경수)가 서울시립대학교 최용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차세대 합성 플랫폼인 CFSS(Cell Free Synthetic System)를 활용한 ‘비건 PDRN’ 개발에 성공했다. 코스맥스에 따르면 이번에 개발된 비건 PDRN은 기존 연어 유래 PDRN과 99.9% 이상 동일한 서열을 지닌다. 그동안 연어의 정소에서 주로 추출해 원료 수급에 한계가 있었던 PDRN(Polydeoxyribonucleotide)을 비건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안정적인 공급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CFSS 기술은 세포 전체가 아닌 세포 내 물질 합성 경로만을 활용해 단시간 내 고순도의 DNA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기존 바이오 합성보다 효율성과 재현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코스맥스는 스킨케어 브랜드 ‘라운드랩(ROUND LAB)’을 운영하는 서린컴퍼니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비건 PDRN을 활용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협약에 따라 코스맥스는 원료의 생합성 및 응용 연구를 담당하고, 서린컴퍼니는 제품화 및 시장 확산 전략을 맡는다. 앞서 코스맥스는 중국 합성생물학 기업 루이지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지중해식 식단을 비롯한 항염증 중심의 건강한 식습관이 성기능과 요실금 등 골반저 기능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물리치료나 약물치료에만 의존하지 않고, 식이 조절만으로도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되며 주목받고 있다.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뉴트리션(Frontiers in Nutrition)’에 최근 게재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에 따르면, 연구진은 총 31편의 논문을 종합·재분석해 식이요법이 골반저기능장애(Pelvic Floor Dysfunction, 이하 PFD)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이번 분석을 통해 수백만 명이 겪고 있는 성기능 장애나 요실금 등 증상 완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식단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했다. 골반저기능장애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환으로, 골반저 근육이 약해지거나 손상돼 소변이나 대변을 조절하기 어려워지거나, 성기능 장애와 골반 통증이 나타나는 복합적인 상태다.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증상이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삶의 질을 심각하게 떨어뜨리며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적지 않다. 기존 치료는 케겔 운동 등 물리치료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미국 플로리다의 해양 테마파크 ‘마이애미 씨쿼리움’이 70년 만에 문을 닫았다. 지난 1955년 개장한 이 시설은 수십 년간 고래와 돌고래 등 수백 마리의 해양동물이 사망한 곳으로, 동물권 단체들의 지속적인 폐쇄 요구가 이어져 왔다. 마이애미 씨쿼리움은 지난해 카운티 당국으로부터 버지니아키 부지 임대 계약 위반과 관련한 퇴거 명령을 받았으며, 결국 파산 신청 후 지난달 영구 폐쇄됐다. 운영사 ‘더 돌핀 컴퍼니(The Dolphin Company)’는 동물 관리 기준을 위반하고 시설 유지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것으로 지적받았다. 현지 당국이 보낸 서한에는 “적용 가능한 법에 따라 동물을 관리하지 않았다”며 “시설 상태가 열악하고 위험하다”는 표현이 포함됐다. 관계 기관은 또한 계약상 ‘시설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해야 할 의무’를 저버렸다고 비판했다. 1955년 개장 이후 이곳에서는 최소 120마리의 고래와 돌고래가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2023년에는 30세 수컷 돌고래 선댄스(Sundance)가 ‘위장 스트레스’로 추정되는 증상 후 폐사했으며, 그보다 앞서 또 다른 돌고래는 목에서 5센티미터 길이의 못이 발견됐다. 같은 해 52년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풀무원녹즙이 ‘식물성유산균 쌀’ 대용량 제품(500ml)에 이어 ‘식물성유산균 오트’를 새롭게 선보이며 식물성 발효유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풀무원녹즙은 국내산 쌀즙에 통귀리를 듬뿍 담아 귀리의 식감과 풍미를 살린 요거트형 발효유 '식물성유산균 오트'를 출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식물성유산균 오트’는 부드러운 국내산 쌀즙에 통귀리와 나타데코코를 더해 씹는 재미와 귀리의 고소한 풍미를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제품이다. 한 병에는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150억 CFU(보장균수)가 함유돼 있으며, 세계적인 유산균 전문기업 덴마크 ‘크리스찬 한센’이 제조한 식물성 유산균을 사용했다. 또한 한 병에 아연 5.1mg(1일 권장 섭취량의 60%)을 담아 간편한 영양 간식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식이섬유 8g과 유당분해효소 락타아제도 함께 포함해 유당 섭취에 민감한 소비자들도 부담 없이 음용할 수 있도록 했다. 제품은 풀무원녹즙 모닝스텝을 통해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매일 아침 신선하게 받아볼 수 있다. 풀무원녹즙 이도현 PM(Product Manager)은 “이번 신제품은 장이 예민한 분들도 맛있게 즐길 수 있도록 저포드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가을의 끝자락인 10월 말부터 초겨울로 접어드는 11월은 일교차가 커지고 면역력이 떨어지기 쉬운 시기다. 이때는 제철 과일과 채소를 통해 자연스럽게 비타민과 항산화 성분을 보충하는 것이 감기 예방에 도움이 된다. 제철 식품은 영양이 풍부하고 맛이 좋을 뿐 아니라, 신선도가 높아 면역력 강화에도 효과적이다. 가장 먼저 추천되는 것은 배다. 배는 기관지 점막을 보호하고 염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어 감기나 기침이 잦은 환절기에 특히 좋다. 배 속의 루테올린 성분은 기침과 가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따뜻하게 데운 배즙으로 섭취하면 흡수율이 높다. 두 번째는 귤이다. 본격적인 귤 제철이 시작되는 11월에는 비타민 C와 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한 귤이 감기 예방에 탁월하다. 귤의 하얀 속껍질에 들어 있는 헤스페리딘은 혈관을 강화하고 코막힘 완화에도 도움을 준다. 전문가들은 하루 2~3개의 귤을 간식처럼 섭취하면 면역 유지에 효과적이라고 조언한다. 세 번째로는 무를 꼽을 수 있다. 무는 소화 효소인 디아스타제가 풍부해 소화를 돕고, 체내 노폐물 배출을 촉진해 감기 초기 증상을 완화한다. 특히 10월 말부터 수확되는 가을무는 단맛이 강하고 수분이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빠르게 녹으면서 바다로 흘러드는 영양분의 양이 줄어들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수천 년 동안 육지와 바다를 잇는 ‘자연의 영양 공급로’ 역할을 해온 빙하가 더 이상 바다 생태계에 충분한 영양을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UC샌디에이고 스크립스 해양연구소 연구진은 최근 알래스카 케나이 반도의 두 빙하를 비교 조사했다. 하나는 여전히 바다와 맞닿아 있는 아이알릭 빙하, 다른 하나는 1950년 이후 15킬로미터 이상 후퇴한 노스웨스턴 빙하였다. 두 빙하는 동일한 암반 위를 흐르지만, 녹은 물의 성분은 크게 달랐다. 노스웨스턴 빙하의 융빙수에는 해양 플랑크톤이 생존에 꼭 필요한 철과 망간의 ‘생체 이용 가능 형태’가 훨씬 적게 포함돼 있었다. 반면 아이알릭 빙하는 비교적 신선한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해 바다 생물의 성장에 유리한 조건을 만들었다. 연구를 이끈 사라 애런스 지구화학자는 “빙하가 더 후퇴할수록 물이 얼음 아래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고, 그동안 더 많은 화학 반응이 일어난다”며 “그 결과 철 같은 영양소가 해양 생물이 이용할 수 없는 형태로 바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연구진이 각 빙하에서 유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미국 성인 대다수가 학교 급식에서 식물성 식단과 비유제품 음료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책임 있는 의학을 위한 의사회’(PCRM)와 모닝컨설트(Morning Consult)가 이달 초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7%가 비건 급식과 두유 등 비유제품 음료 제공에 찬성했다.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이러한 선택권 확대를 적극 지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PCRM 소속 영양학자 스테파니 맥버넷은 “전국 학교가 ‘전국 학교 급식 주간’을 맞아 건강한 급식의 중요성을 알릴 시점”이라며 “학생들의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식물성 식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식물성 급식이 일반 급식보다 섬유질이 많고 지방이 적어 비만, 제2형 당뇨병,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PCRM이 워싱턴D.C.의 한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에서는 식물성 메뉴가 일반 급식보다 섬유질 함량이 3배 높고 지방과 포화지방, 콜레스테롤이 적은 반면, 철분과 비타민A·C 등 영양소는 더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학교에서는 렌틸콩과 강낭콩을 활용한 ‘파워드 업 파스타’와 ‘베지 아웃 칠리’ 같은 메뉴가 제공됐다. 이는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프레쉬 핸드메이드 코스메틱 브랜드 러쉬(LUSH)가 글로벌 뷰티업계 최초로 ‘오션 플라스틱 방지 인증(Prevented Ocean Plastic™, 이하 POP)’ 용기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러쉬는 지난 2024년부터 영국의 포장재 제조업체 ‘스펙트라 패키징(Spectra Packaging)’과 협력해 제품 용기를 POP 용기로 전환해왔다. POP 플라스틱은 인도네시아 등 해안 50km 이내 오염 취약 지역에서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자원으로, 해양 유입 전 단계에서 차단해 재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세상을 더 러쉬스럽게(Lusher Than We Found It)’라는 브랜드 철학 아래 진행된 이번 POP 용기 전환을 통해, 현재까지 영국 내 공급망에서 약 300만 개 이상의 용기가 교체됐다. 러쉬는 이를 통해 플라스틱 유입을 줄이는 동시에 수거 지역 주민에게 안정적인 일자리와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러쉬 전체 제품의 약 66%는 포장재가 없는 ‘네이키드(Naked)’ 형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나머지 제품도 100% 재활용 플라스틱이나 지속가능한 소재를 활용한다. 또한 ‘폐쇄형 순환 시스템(Closed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