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브라질 벨렘에서 열린 COP30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가 적응 재원 확대와 손실·피해 체계 개선 등을 포함한 합의문을 발표하며 막을 내렸다. 이번 회의에서는 취약국 지원을 강화하자는 국제적 공감대가 확인됐으나, 화석연료 전환 문제는 구체적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며 한계를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적응 재원과 관련해서는 2035년까지 기존 대비 세 배 규모로 확대한다는 방침이 제시됐다. 이는 기후위기 영향이 이미 확대되고 있는 국가들의 대응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향으로 제시된 것이지만, 실제 재원 규모와 이행 방식은 공식 문서에서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아 실질적 효과는 향후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손실·피해 제도는 Warsaw International Mechanism의 정기 검토를 통해 기술지원 강화, 정보 제공 체계 보완, 투명성 지침 정비 등을 포함한 개선 사항이 반영됐다. 다만 일부 기후단체는 여전히 기후위기 실질 피해를 상쇄하기에는 제한적이라는 의견을 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사회가 주목한 화석연료 전환 문제는 명시적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일부 자원 수출국이 반대 입장을 유지하면서 결과 문서에는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미국 대형 육가공업체 타이슨푸즈가 기후친화적 생산을 내세운 자사 쇠고기 제품의 환경마케팅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지난해 9월 워싱턴DC에서 제기된 소송에서 ‘기후 스마트’ 표기와 2050년 넷제로 달성 주장에 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된 데 따른 조치다. 이번 소송은 미국 환경단체 Environmental Working Group(이하 EWG)이 제기한 것으로, 쇠고기 생산 과정의 메탄·아산화질소 배출 저감 기술이 입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타이슨이 소비자에게 기후친화적 이미지를 부각해 왔다고 주장했다. EWG는 타이슨이 기존 기술이나 예측 가능한 수단만으로 실질적 감축을 입증하기 어렵다는 점을 문제로 제기했다고 밝혔다. 합의에 따라 타이슨은 향후 5년간 기후친화 제품을 판매하거나 광고하는 내용의 주장을 새롭게 내세울 수 없으며, 향후 관련 표현을 사용할 경우에는 양측이 지정한 전문가의 검증이 필요하다. EWG는 이번 합의가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EWG 관계자는 “식품 시스템을 좌우하는 기업들은 투명성과 책임성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하는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기후 관련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