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일상용품 가운데는 어쩔 수 없이 한번 쓰고 버려야 하는 일회용품이 있다. 특히 아기용품인 기저귀의 경우, 천 기저귀라는 대안이 있지만 매번 세탁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하는 가정이 압도적으로 많다. 버려지는 기저귀의 양은 어마어마한데 바이오 기반 및 생분해 산업 협회(Bio-based and Biodegradable Industries Association)의 2020년 보고서에 따르면 60초마다 30만 개의 기저귀가 매립지에 유입되고 있다. 이렇게 버려지는 일회용 기저귀는 목재 펄프와 면 및 초흡수성 고분자물질로 만들어져 생분해되지 않고 매립되거나 소각 처리돼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다 쓴 일회용 기저귀를 건축자재로 재활용한 연구 결과가 발표돼 눈길을 끈다. 지난 1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온라인 오픈 액세스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된 일본 후쿠오카 기타큐슈 대학의 환경공학부 환경공학연구과 연구팀에 따르면 이들은 단층 주택에 사용되는 모든 건축자재에서 최대 8%의 모래를 일회용 기저귀로 대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바트 드완커(Ba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신세계푸드가 선보인 100% 식물성 '베러 버거'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신세계푸드는 100% 식물성 재료로 만든 노브랜드 버거의 '베러 버거'가 출시 10일 만에 누적 판매량 2만 개를 돌파했다고 29일 밝혔다. 베러 버거는 신세계푸드가 자체 푸드테크 역량으로 개발한 식물성 빵 '베러 번'과 대체육 브랜드 '베러미트'를 비롯해 치즈와 소스까지 버거의 4대 재료를 모두 식물성으로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베러 버거는100% 식물성 재료로 만들었다는 점이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는 건강식 트렌드와 잘 맞아떨어지며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 베러 버거를 세트로 즐기는 고객 가운데 기본 사이드 메뉴로 제공되는 감자튀김 대신 그린샐러드 미니로 교환해 즐기는 비율은 30%를 넘어섰다. 당초 예상했던 교환 비율의 2배를 웃도는 것이다. 신세계푸드는 버거 주 소비층인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사이에 건강식 선호 트렌드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신세계푸드는 베러 버거 인기에 힘입어 다음 달 100% 식물성 재료로 치킨 너겟의 맛과 식감을 구현한 '베러 너겟'을 출시하는 등 식물성 메뉴를 강화한다는 방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무분별한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해 지구가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생분해 플라스틱이 개발됐지만 정작 실제 바다에서 생분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5일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의 세라-진 로이어(Sarah-Jeanne Royer)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에 따르면 썩는 플라스틱으로 알려진 폴리락트산(PLA) 섬유가 바다 환경에서는 1년 넘게 썩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정보열람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게재된 이 논문은 해양 환경에서 플라스틱 소재의 지속성에 대한 불안한 진실을 밝히기 위해 마련됐다. 연구팀은 미국 샌디에이고에 위치한 엘렌 브라우닝 스크립스 기념 부두(Ellen Browning Scripps Memorial Pier)에서 해수면과 10M 깊이 바닥에 식물 섬유소인 셀룰로오스 기반 천연 섬유부터 폴리락트산(PLA)과 석유 기반 섬유, 혼합 섬유 등 총 10종의 섬유 시료를 철망 안에 담아 분해 과정을 관찰했다. 이들은 주 단위로 고해상도 전자 현미경 및 라만 분광법을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미국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샬럿 왕비: 브리저튼 외전(Queen Charlotte: A Bridgerton Story)’가 인기를 얻고 있는 가운데 브리저튼 시리즈에서 ‘샬럿 왕비’를 연기한 배우 골다 로쉐벨(Golda Rosheuvel)이 채식주의자로 알려져 눈길을 끈다. 골다 로쉐벨은 가이아나계 영국인 배우로 여러 연극 무대에서 연기를 펼치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브리저튼’에서 ‘샬럿 왕비’를 연기하며 인기를 얻었다. 최근 그녀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및 필름에 출연한 아프리칸-아메리칸 배우들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인 ‘스트롱 블랙 리드(Strong Black Lead)’에 출연해 “나는 천 년 전에 식물을 기반으로 하게 된 것 같다”라면서 아주 오래 전부터 채식을 하고 있다는 말을 돌려 표현했다. 골다 로쉐벨은 “그 때 내 인생에는 많은 일이 있었고, 내 인생을 좀 더 긍정적인 방면으로 이끌어나갈 계획을 고민하고 있었다”라면서 채식을 하게 된 계기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녀는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식물성 요리로 식물성 볼로네제 스파게티, 단삭(Dhansak·야채에 렌즈콩과 고수풀을 넣은 인도 요리) 및 비건 피자 등을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풀무원이 지난해 업계 최초로 선보인 비건 인증 레스토랑이 큰 인기를 얻으며 국내 비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풀무원푸드앤컬처는 식품업계 최초 비건 인증 레스토랑 ‘플랜튜드’(Plantude) 코엑스점이 오픈 약 1년 만에 누적 방문 고객수 7만5000명, 메뉴 10만 개 판매를 돌파했다고 26일 밝혔다. 플랜튜드는 식물성을 의미하는 ‘플랜트’(Plant)와 태도의 ‘애티튜드’(Attitude)의 조합어로, 식물성 기반의 메뉴들로 맛있고 즐거운 식사를 제공하고 지구와 환경까지 생각하는 태도를 지향한다는 의미다. 1만원대 안팎의 가격 설정과 파스타, 떡볶이, 비빔밥 등 대중적인 메뉴를 순식물성 재료로 재해석해 구현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즐길 수는 있는 비건 레스토랑으로 소비자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1호점의 경우 환경을 고려해 기존 운영 중인 매장의 자재들을 업사이클링하고 친환경 자재로 인테리어를 한 것도 특색이다. 식기 선정에서도 친환경 소재, 리사이클링 제품들을 사용하고, 빨대 및 일회용 사용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1호점 인기 메뉴로는 '고사리 오일 스톡 파스타', '모둠 버섯 두부 강정', '두부카츠 채소 덮밥'이 대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플라스틱에서 비롯된 미세플라스틱 문제가 심각한 오염 물질로 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미세플라스틱이 태아 때부터 뇌에 축적돼 신경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국내 연구가 발표됐다. 부산대는 분자생물학과 정의만 교수팀이 미세플라스틱이 태아 때부터 뇌에 축적돼 신경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고 25일 밝혔다. 해당 논문 제목은 '미세플라스틱 노출에 의한 비정상적 행동 유발'로 엘스비어社에서 환경 분야 세계적인 저널 유해물질 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실렸다. 신경발달은 뇌가 성장하고 발달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뇌는 경험과 자극에 반응해 언어·인지·감정조절 등 다양한 능력을 형성한다. 신경 발달이 일어나는 시기에 유전적·환경적 원인으로 중추신경계가 손상되면 신경 발달장애를 유발한다. 타고난 유전적 원인과 달리 환경적 원인은 화학물질을 비롯한 오염물질의 노출 및 생체 축적, 성장 과정 중의 경험 및 스트레스, 보호자와의 관계 등 다양한 양태를 보인다. 연구팀은 환경적 원인 중 미세플라스틱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미세플라스틱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국내 푸드테크 기업 아머드 프레시는 지난 20일부터 23일(현지 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세계 외식 산업 박람회 ‘NRA쇼’에 참가해 자체 개발한 ‘아메리칸 슬라이스’ 비건 치즈를 선보였다고 밝혔다. 미국 레스토랑 협회가 주최하는 ‘NRA쇼’(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Show)는 지난 1919년부터 100년이 넘게 이어져 온 외식 산업 박람회다. 이번 행사에는 2000여 개가 넘는 업체들이 참여해 다양한 제품들을 선보이며 관련 업계 종사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아머드 프레시는 지난해 세계 최대 비건 인구 보유국인 미국에 첫 진출한 이후 소매 유통 채널뿐 아니라 식자재 유통 서비스 확대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보다 다양한 유통망 확대를 위해 이번 박람회 참가를 결정하게 됐다. 박람회에서 선보인 ‘아메리칸 슬라이스’ 비건 치즈는 이미 미국 현지 비건 소비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만큼 현지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특히 제품의 맛과 향, 용해성을 높게 평가했고 문의 또한 쇄도했다. 아메리칸 슬라이스는 열에 녹아내리는 정도를 뜻하는 ‘멜팅성’을 완벽히 구현해내며 미국 현지 출시와 동시에 업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100여 명의 환경운동가가 영국 런던에서 열린 석유 대기업의 주주총회에 난입해 석유 및 가스 추출 중단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지난 23일 유로뉴스는 포실 프리 런던(Fossil Free London)의 활동가 100여 명이 영국 런던 엑셀(ExCeL) 센터에서 개최된 화석연료 기업 쉘(Shell)의 주주총회에 난입했고 무대를 점거하고 석유 및 가스 추출 중단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운동가들은 유명 팝송인 ‘Hit the Road Jack’을 ‘지옥에 가라, 쉘(Go to Hell Shell)’로 개사해 부르며 웨일 사완(Wael Sawan) 쉘 CEO의 개회사를 방해했으며 책상에 올라서서 거대 화석 연료 회사를 비난하는 연설을 이어갔다. 쉘은 올해 초 115년 역사상 가장 높은 360억 유로의 수익으로 보고했으며 화석 연료 추출 부지를 계속 개발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쉘의 새로운 프로젝트는 지구 온난화에 대해 국제적으로 합의된 한계를 위반하는 것을 의미할 것이라는 국제 에너지 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운동가들은 새로운 프로젝트를 중단하라고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커피를 만들고 남은 부산물인 '커피박'은 그동안 폐기물 쓰레기로 배출됐지만 재활용 가치가 높은 유기성 자원으로 주목받으면서 다양한 제품으로 새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프리미엄 커피 브랜드 네스프레소가 스위스를 대표하는 위블로(HUBLOT)와 손잡고 버려지는 커피박과 커피 캡슐을 럭셔리 시계로 업사이클해 출시한다. 지난 24일 위블로와 네스프레소는 재활용과 순환성을 기반으로 한 빅뱅 타임피스를 제작하는 특별한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시계의 일부 부품은 네스프레소의 재활용 커피박과 캡슐로 제작된다. 네스프레소는 지난 7년간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스위스 브랜드와 파트너십을 맺고 이전에 사용된 알루미늄 캡슐을 활용해 신제품을 제작해 왔다. 위블로와 네스프레소가 한 해 동안 이어진 파트너십을 통해 선보이는 빅뱅 유니코 네스프레소 오리진에는 혁신, 탁월함, 지속 가능성과 같은 가치를 추구한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통해 탄생되는 제품은 위블로와 네스프레소 모두가 지닌 선구적인 정신에 기반을 두고 개발됐다. 이전에는 만나볼 수 없었던 특별한 콜라보레이션을 성사시킨 파트너십을 엿볼 수 있는 시그니처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영국 속담에는 ‘하루 사과 한 알은 의사를 멀리하게 해준다’라는 말이 있다. 최근 밝혀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제 하루 사과 한 알이 체력이 떨어지고 쇠약해지는 ‘노인증후군’을 예방하는데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임상영양학저널(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에 발표된 미국 하버드대 의대 산하 병원인 베스 이스라엘 디코니스 메디컬센터(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와 노인 건강 서비스센터인 힌다 앤 아서 마커스 노화 연구소(Hinda and Arthur Marcus Institute for Aging Research) 공동 연구팀의 연구에 따르면 하루에 중형 사과 1개를 섭취하면 노쇠할 확률이 20% 감소한다. 연구팀은 노쇠 예방을 위한 식이 플라보노이드의 역할에 대한 최초의 포괄적인 지역사회 기반 조사 중 하나인 이번 연구를 위해 연구원들은 프레이밍햄 심장 코호트(Framingham Heart Study-Offspring Cohort)의 데이터를 활용해 플라보노이드 섭취와 노쇠 발병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했다. 연구는 허약함이 없었던 총 1701명의 참가자를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플라스틱 폐기물이 범지구적인 문제로 떠오르면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코카콜라가 재생 플라스틱을 적용한다. 한국 코카콜라는 재생 플라스틱이 10% 사용된 '코카콜라 재생 보틀'을 기존 코카콜라와 코카콜라 제로 1.25L 제품에 적용해 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앞서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용기에 이미 사용한 음료 페트병의 재생페트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난해 제도 개선 및 관련 기준안을 마련했다. 코카콜라는 이같은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동참하고자 사용된 페트병을 새로운 페트병에 재활용하는 이른바 ‘보틀투보틀’을 적극 도입하고 나선 것이다. 특히 이번 재생 보틀이 적용된 1.25L는 업소용으로 코로나19 이후 음식배달이 크게 늘며 동반성장한 핵심 제품군인만큼 친환경 성과를 높이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코카콜라는 국내에서 보틀투보틀을 처음 시도하는 점을 고려해 첫 생산 제품에는 재생페트 10% 적용을 결정했다. 재생 보틀은 국내에서 분리배출된 투명 페트병을 환경부 기준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세척·분쇄해 열을 가열해 액체 상태로 녹이는 물리적 가공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후 식약처로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한 고등학생이 우유를 강제로 급여하는 학군을 고소했다. 지난 13일 뉴욕포스트, 워싱턴포스트 등 외신은 로스앤젤레스의 이글 락(Eagle Rock)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마리엘 윌리엄슨(Marielle Williamson)이 동물성 우유 홍보를 강제한 미국 농무부(USDA), 로스앤젤레스 통합교육구, 학교 행정관 등을 고소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마리엘 윌리엄슨은 비건 3년 차로 고등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제공되는 동물성 우유에 대한 부당함을 알리고 식물성 우유에 대한 이점을 홍보하기 위해 관련 문의를 학교 행정부에게 한 결과 학교 행정부가 유제품의 이점을 홍보하는 경우에만 식물성 우유의 이점을 홍보할 수 있다는 답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녀는 행정부의 답변이 자신이 진행하려고 하던 식물성 우유 캠페인을 무산시킬 목적이라고 보고 이것이 수정헌법 제1조의 권리를 위반했다고 판단했다. 이에 그녀는 예방적 식물 기반 의학을 옹호하는 비영리 단체인 책임 있는 의학 의사 위원회(Physicians Committee for Responsible Medicine)가 제기한 소송에 함께하기로 결정했다. 미국에서는 전국 학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국내산 쌀로 만든 식물성 아이스크림 브랜드 나이스케키가 ‘솔티드카라멜&초코플레이크’ 아이스크림 파인트를 정식 출시한다고 운영사 서스테이블이 밝혔다. 우수한 품질로 인정받는 땅끝마을 해남 쌀이 6% 이상 함유된 ‘나이스케키 솔티드카라멜&초코플레이크’는 특허 출원한 자체 기술을 통해 유제품과 계란을 넣지 않고도 프리미엄 아이스크림의 부드럽고 쫀득한 식감을 식물성으로 완벽히 구현한 게 특징이다. 특히 나이스케키는 동물성 원재료와 견과류를 사용하지 않아 기존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대비 2/3 낮은 칼로리로 즐길 수 있으며, 콜레스테롤은 0%로 유당불내증을 앓고 있었거나 새로우면서 건강한 아이스크림을 찾는 소비자가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솔티드카라멜&초코플레이크 맛은 동물성 원료가 전혀 들어가지 않은 카라멜 소스와 다크 초콜렛 플레이크를 넣어 식물성으로도 진한 카라멜 풍미가 느껴지는 맛이 살린 제품이다. 실제 소비자들에게 “훌륭한 쫀득함과 절제 있는 달콤함”, “텁텁함 없이 너무 깔끔 쫀득하다” 등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나이스케키 솔티드카라멜&초코플레이크는 2023년 3월 열린 비건페스타에 참가해 소비자에게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영국 왕실에 이어 네덜란드 왕실이 푸아그라 요리를 퇴출한다고 밝혀 눈길을 끈다. 전 세계 왕실의 뉴스를 다루는 로얄센트럴(Royal Central)에 따르면 빌럼 알렉산더(Willem Alexander) 네덜란드 국왕이 푸아그라를 네덜란드 왕실에서 금지하기로 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같은 결정은 찰스 3세 영국 국왕이 영국 왕실에서 푸아그라를 사거나 제공하지 않는다고 밝힌 이후 나온 것으로 글로벌 동물복지단체 페타(PETA)에 대변인을 통해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왕실 대변인은 서한을 통해 “우리는 더 이상 푸아그라가 포함된 요리를 만들지 않을 것이며, 또한 외부 식당에서 푸아그라를 주문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푸아그라는 오리, 거위의 간 요리로 그 생산 방식이 비윤리적이라는 비난을 받아왔다. 가바주(gavage) 방식으로 생산되는 푸아그라는 오리와 거위의 목구멍에 튜브를 삽입해 약 12~17일 동안 곡물과 지방을 혼합한 먹이를 강제로 먹여 간의 크기를 비정상적으로 크게 만들어 도축해 만든다. 푸아그라는 가바주 방식을 통해 간에 지방이 쌓이는 과정에서 화학적 변이를 일으켜 요리의 풍미를 자극한다 알려졌지만, 동물의 복지에 대한 인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국제 플라스틱 협약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전 세계 134개의 시민단체와 41명의 과학자들이 유엔에 국제 플라스틱 협약에 개입해 강력한 조약 성사를 방해하려는 석유화학기업의 시도를 막아 달라고 공개 요구했다. 서한을 통해 전달된 이번 요구에는 유엔평화대사이자 저명한 환경운동가인 제인구달이 함께해 화제를 모았다. 이들이 제출한 서한에는 정부간 협상위원회(Intergovernmental Negotiating Committee, INC)에 석유화학기업의 후원과 공식참여를 제한하고, 플라스틱 오염에 영향 받는 지역주민과 관련 연구를 하는 과학자들의 참여를 요구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2022년 유엔환경총회(이하 UNEA)에서 회원국들은 2024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오염을 막기 위해 국제 플라스틱 협약을 만들기로 결의했다. 이 협약의 구체적인 내용을 논의하기 위해 정부간 협상위원회(INC)를 다섯 차례에 걸쳐 진행하기로 했고 그 두 번째 회의를 5월 29일부터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한다. 그린피스는 플라스틱 생산량 절감과 재사용·리필을 근본 해결책으로 하는 ‘강력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이 체결돼야한다고 주장해왔다. 플라스틱 생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