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구름조금서울 23.5℃
  • 구름조금인천 22.5℃
  • 맑음원주 23.9℃
  • 맑음수원 23.3℃
  • 맑음청주 24.2℃
  • 맑음대전 24.9℃
  • 맑음대구 23.5℃
  • 맑음전주 26.0℃
  • 맑음울산 24.1℃
  • 맑음창원 22.2℃
  • 맑음광주 23.2℃
  • 맑음부산 19.5℃
  • 맑음목포 22.1℃
  • 구름많음제주 18.8℃
  • 맑음천안 23.4℃
  • 맑음구미 25.8℃
기상청 제공

비건

동물성 단백질 과다 섭취 어린이·청소년, 과체중·비만 위험 1.4배 높아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고기 등 동물성 단백질을 또래 중 많이 섭취하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과체중 및 비만 위험이 1.4배 높다는 연구가 나왔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에 따르면 제주대 식품영양학과 하경호 교수팀은 논문 '한국 아동 및 청소년의 단백질 섭취와 과체중 및 비만과의 연관성: 2014∼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에서 2014∼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18세 어린이와 청소년 5567명을 대상으로 단백질 섭취량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와 같은 결론을 내렸다.

 

단백질은 근육·피부·항체·효소 등의 기본 재료로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고 정상적인 성장발달을 위해서는 양질의 단백질을 균형 있게 섭취해야 한다. 단백질 섭취가 부족하면 성장 지연·칼슘과 뼈의 손실·골격근 감소·심부전·빈혈·감정장애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지만 그러나 어린 시절의 단백질 과잉섭취는 체중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국내 어린이·청소년이 하루에 섭취하는 전체 열량 중 단백질이 차지하는 비율은 14.5%였다. 연구팀은 단백질 섭취량에 따라 어린이·청소년을 세 그룹으로 분류했고 하루 평균 단백질 섭취량이 가장 높은 그룹의 과체중·비만 위험은 가장 적은 그룹의 1.4배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어린이·청소년들의 동물성 단백질 섭취는 늘고, 식물성 단백질 섭취는 줄었다. 하루 전체 섭취 열량 중 고기 등 동물성 단백질의 점유율은 2010년 7.3%에서 2019년 8.9%로 증가했으며 식물성 단백질의 점유율은 반대로 2010년 6.7%에서 2019년 6.1%로 감소한 것이다. 동물성 단백질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그룹의 하루 육류 섭취횟수는 4.1회로, 가장 적게 섭취하는 그룹(1.2회)보다 약 4배 높았다.

 

하 교수팀은 논문에서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어린이·청소년의 총 단백질과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은 증가했다"며 "총 단백질과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량이 많으면 과체중·비만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해당 연구는 한국영양학회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최근호에 게재됐다.

배너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