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시내버스 노사 간 임금협상이 서로의 입장 차를 끝내 좁히지 못한 채 4월 30일 02시에 최종 결렬됨에 따라 작년 시내버스 파업 때와 같은 출근길 대란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하지만 노측의 준법투쟁이 실시된 4월 30일 출근길, 서울시의 사전 안내(홈페이지, 재난안전문자 등) 및 대체교통수단(자치구 셔틀버스, 지하철 증회운행) 마련, 그리고 시민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 덕분에 우려했던 큰 혼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출근시간 대 모니터링 결과, 교통량이 평소 대비 0.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민들이 승용차 대신 대체교통수단을 적극 이용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노측의 준법투쟁 결정에도 불구하고 책임감 있는 대다수 운수종사자들은 고의적 저속 운행이나 장시간 정류소 정차와 같은 행위를 최대한 자제함으로써 시민 불편을 유발하지 않았다.
버스정보시스템 모니터링 결과, 前 주 대비 버스 속도는 전체적으로 0.84km/h 감소하여 태업행위는 크게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다만 여전히 노사 간 갈등은 진행 중이며 시내버스 임금협상은 결론을 내지 못했다. 또한 노조의 준법투쟁이 갑자기 전면파업으로 변화될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는 만큼, 서울시는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고 지방노동위원회 조정 결렬 이후 노사 간 자율교섭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성숙한 시민 의식과 책임감 있는 운수종사자의 행동으로 준법투쟁 첫날은 다행히 큰 혼란 없이 넘어갔지만, 시민의 대중교통 이용권이 잠재적으로 위협받고 있는 현 상황을 계속해서 지켜만 볼 수는 없으므로 조속한 시일 내에 원만한 노사 합의가 도출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