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 진료 중 신경치료는 충치나 외상 등으로 인해 치아 내 치수조직이 손상, 감염된 경우 진행하는 것이다. 보통 충치를 방치하다가 치수조직까지 손상돼 신경치료를 받는 케이스가 많으며, 미세한 치아 크랙을 뒤늦게 발견해 치료하는 경우도 있다.
신경치료는 치수조직 자체를 치료하는 것은 아니며, 감염된 조직을 모두 제거하고 내부를 치과용 충전재로 채우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치료 과정이 복잡하고 난이도가 높아 관련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과 충분히 상의한 후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 시 치아 내부 깊숙한 곳에 있는 치수조직을 모두 제거해야 한다. 미세한 조직이 조금이라도 남으면 치료 후 재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치아 뿌리 속의 신경과 혈관 등의 조직을 꼼꼼히 제거해야 한다.
감염 조직을 모두 제거한 후에는 치근관 형태를 다듬고 소독한다. 그리고 인공재료를 근관 내부에 채우고 크라운을 덮어 마무리한다. 크라운 보철을 덮지 않으면 약해진 치아를 보호하기 어렵고, 저작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치아 위치에 맞는 적절한 재료를 선택해 크라운을 제작하고 밀봉해 안정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치료 후에는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지 꼼꼼히 살펴야 한다. 간혹 치료가 제대로 되지 않아 통증이 재발하기도 하는데, 치통이 느껴진다면 즉시 치과에 방문해 문제점을 살펴봐야 한다. 상황에 따라 재 신경치료를 진행해 치아를 보존해야 한다.
치료 후 별다른 통증이 없다 해도 정기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생활하다 보면 보철에 금이 가거나 들뜨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균이 침투할 수도 있다. 혹은 다른 치아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정기검진을 통해 구강 상태를 면밀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신경치료는 난이도가 매우 높은 진료이므로 사전에 숙련의가 집도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또한 치료를 임의대로 중단해서는 안 되며, 치료 후 관리도 철저히 해 치아 보존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진우 서울 자연치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