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아는 한 번 손상되기 시작하면 그 속도가 빨라지며 심하면 치아를 발치해야 할 수 있다. 흔히 발생하는 충치 역시 장기간 방치할 경우 치아 상실로 이어질 수 있어 발견 즉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 충치로 인해 치아 내부에 위치한 치수조직까지 손상됐다면 신경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신경치료는 감염된 치수조직을 제거하고 치근관을 소독한 뒤 충전재로 채우는 치료 방법이다. 이러한 치료가 여러 번 필요할 정도로 치아가 손상된 경우 방치할 시 치아 발치로 이어질 수 있다.
신경치료도 고난도에 속하는 치료지만, 치아 상실 후 진행하는 치료는 더 난도가 높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또한 치료 기간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부담이 커질 수 있으므로 신경치료를 조속히 진행해야 한다.
다만 신경치료도 잘못하면 재치료로 이어질 수 있고, 치아 내 감염이 진행돼 발치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관련 치료 경험이 풍부한 숙련된 의료진과 충분히 논의한 후 개별 맞춤 계획을 세워 치료해야 한다.
치료 시 치아에 구멍을 낸 후 치료기구를 통해 내부에 접근한다. 이후 감염된 조직을 섬세하게 제거하는데, 제거 및 소독하는 과정은 여러 번에 걸쳐 진행할 수 있다. 감염 조직을 말끔히 없애야 치아 내 재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만큼 매우 신중하게 진행해야 한다.
이후 치근관을 소독하고 충전재를 채운 후 치아를 밀봉하며 치료를 마무리한다. 이때 치아에 구멍을 뚫어서 약해진 치아를 크라운으로 씌워 보호해야만 치아 본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크라운 치료를 생략하면 치아가 쉽게 부서질 수 있어 보철로 정교하게 제작한 후 치료 부위를 덮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신경치료 후에는 치아 상태를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하며, 청결 관리를 철저히 해야 재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치아 관리에 소홀하거나 보철 문제를 제때 발견하지 못할 시 치아 보존이 어려울 수 있어 사후관리에 신경 써야 하겠다. (충북혁신도시 혁신탑치과의원 이동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