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유리 기자] 기후변화가 빙하와 해양 생태계뿐 아니라 곤충의 생존 전략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 농도 상승이 세계적으로 악명 높은 농업 해충 목화바구미나방(Helicoverpa armigera)의 산란지 선택 능력을 교란해 번식 성공률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농업 피해 양상이 바뀌고, 생태계 균형에도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중국농업과학원 연구팀은 최근 학술지 ‘국가과학평론(National Science Review)’에 발표한 논문에서, 목화바구미나방 암컷이 산란지를 고를 때 CO2를 중요한 신호로 활용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어린 목화 잎은 성숙한 잎보다 약 200ppm 더 많은 CO2를 방출하는데, 이는 유충 생존에 유리한 영양 조건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반자연 상태 실험에서 암컷이 주로 어린 잎에 알을 낳고, 이곳에서 자란 유충이 생존율과 성장률 모두에서 우위를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CO2 농도를 높인 환경에서 나방의 행동은 달라졌다. 정상 조건에서는 뚜렷하게 어린 잎을 선호하던 암컷이 고농도 CO2에서는 이런 선택성을 잃고, 오히려 영양가가 떨어지는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최근 국제 학술지 ‘영양학 최신 연구 동향(Current Developments in Nutrition)’에 게재된 연구 ‘비건, 채식 또는 잡식 식단을 따르는 10~19세 아동·청소년 8,799명의 동기와 기본 건강 행동의 차이(Difference in Motives and Basic Health Behavior of 8,799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10–19 Years Following a Vegan, Vegetarian, or Omnivorous Diet)’에 따르면, 10대들이 식단을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건강’이며, 환경 보호나 지속가능성은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건 청소년이 신체활동과 과일·채소 섭취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지만, 채식이나 비건 식단을 ‘멋지다’고 여기는 비율은 여전히 낮았다. 이번 조사는 오스트리아 교육·과학·연구부의 지원을 받아 전국 중·고등학교 청소년 8,79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평균 연령은 15세였으며, 식단 유형별로는 잡식(omnivore)이 93%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채식(vegetarian)은 5.5%, 비건(vegan)은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영국의 식물성 반려동물 식품 브랜드 옴니(Omni)가 반려견을 위한 체중감량 보조제 ‘린포즈(LeanPaws)’를 출시했다. 비건 기반 반려동물 식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이번 신제품은 비건 트렌드와 반려동물 건강 관리 수요가 맞물린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영국 옴니는 최근 반려견용 체중감량 보조제 ‘린포즈’를 공개하며 비건 반려동물 식품 시장에서 또 한 번 화제를 모았다. 회사 측에 따르면 반려견의 절반이 과체중 상태에 있으며, 이는 관절염, 당뇨병 등 만성 질환과 수명 단축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린포즈는 약물이 아닌 식물성 원료 기반 보조제로, 이 같은 문제 해결을 목표로 개발됐다. 임상시험 결과도 주목할 만하다. 위약 대조 연구에서 린포즈를 섭취한 과체중 반려견의 77%가 체중을 감량했으며, 63%는 체지방이 줄고 42%는 포만감이 개선되거나 구걸 행동이 감소하는 효과가 확인됐다. 보조제는 가루 형태로 일반 사료에 간단히 섞어 급여할 수 있어, 별도의 식이 조절이나 운동량 변화가 필요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린포즈는 ‘반려견용 오젬픽(Ozempic for dogs)’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고 있다. 대사 촉진, 혈당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미국인들이 가장 싫어하는 음식 조사에서 채소가 다수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여론조사기관 유고브(YouGov)가 지난 7월 말 미국 성인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가장 많은 응답자가 ‘싫어한다’고 답한 음식은 엔초비(56%), 간(54%), 정어리(52%) 등 해산물과 내장류였다. 하지만 채소류도 순위권에 다수 올랐다. 비트(35%)와 케일(31%)이 대표적이며, 세부 집단 분석에서는 브뤼셀 스프라우트, 콜리플라워, 시금치, 브로콜리 등이 싫어하는 음식으로 자주 언급됐다. 특히 남성 응답자들은 해산물보다는 채소류에 대한 반감이 상대적으로 강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두부(tofu)도 ‘싫어한다’는 응답이 46%로 상위권에 포함됐다. 미국에서는 두부가 낯설고 밋밋한 맛과 질감 때문에 거부감을 주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상황이 다르다. 두부는 조선시대부터 전통 식문화 속에서 꾸준히 소비돼 왔으며, 국·찌개·부침·반찬 등 다양한 형태로 즐겨 먹는다. 또한 저지방·고단백 식품으로 인식돼 다이어트와 건강식, 채식 식단의 주요 단백질 공급원으로 자리매김했다. 미국에서 ‘싫어하는 음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