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생활용품 전문 브랜드 생활공작소가 전문 조향사가 개발한 ‘퍼퓸 바디워시’ 2종을 새롭게 선보였다. 지난해 ‘퍼퓸 핸드워시’를 출시한 데 이어 동일한 향을 적용한 바디워시로 라인업을 확장했다. 이번 제품은 ‘당신의 일상에 향을 더하다’라는 슬로건 아래 출시됐으며, 300ml 젤 타입으로 ‘바닐라 엘릭서(Vanilla Elixir)’와 ‘히노끼 위스퍼(Hinoki Whispers)’ 두 가지 시그니처 향으로 구성됐다. 전문 조향사가 직접 블렌딩해 풍부하고 오래 지속되는 잔향이 특징이며, 일반 바디워시 대비 두 배 이상 높은 부향률을 구현해 샤워 후에도 깊은 향을 유지할 수 있다. ‘바닐라 엘릭서’는 파우더리한 포근함에 자스민과 장미의 은은한 달콤함을 더했으며, ‘히노끼 위스퍼’는 숲 속 고목나무 향과 풀·흙 내음, 여기에 시트러스한 청량감을 담았다. 생활공작소 측은 이번 신제품이 미산성 포뮬러로 피부 밸런스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자연 유래 성분과 보습·진정 성분을 함유해 순한 사용감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또 무자극성 피부 테스트를 통과했으며, 향료를 제외한 모든 성분이 EWG 그린 등급을 받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프랑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스웨덴 북부, 유럽 최대 규모 희토류 매장지 개발이 추진되면서 사미족 순록 방목 공동체가 존립의 기로에 섰다. 국가는 광산 개발을 통해 자원 안보를 강화하려 하지만, 원주민에게는 수천 년간 이어온 삶의 터전이 사라질 위기로 다가오고 있다. 가속화하는 기후변화까지 겹치며 사미족의 문화적 토대는 그 어느 때보다 큰 도전에 직면했다. 스웨덴 북부 루오사바라 산은 오랫동안 사미족 순록이 이동해 온 전통 경로다. 그러나 최근 이 지역에 유럽 최대 규모로 평가되는 ‘페르 예이예르(Per Geijer)’ 희토류 매장지가 발견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스웨덴 정부와 국영 광산기업 LKAB는 이를 통해 유럽의 대중국 희토류 의존도를 낮추고, 전기차·재생에너지 산업을 지원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하지만 사미족 공동체는 이러한 개발이 전통적 순록 방목을 근본적으로 위협한다고 경고한다. 가브나 마을에서 3천여 마리의 순록을 관리하는 방목민 라르스-마르쿠스 쿠무넨은 “순록은 사미 문화의 뿌리”라며 “광산이 들어서면 여름과 겨울을 오가던 이동 경로가 완전히 차단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미 키루나바라 철광석 광산 확장으로 인해 순록이 더 멀고 험한 길을 따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 등이 9일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비건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피켓팅과 퍼포먼스를 통해 “기후 위기의 해답은 비건 채식”이라고 강조했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 등이 9일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비건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피켓팅과 퍼포먼스를 통해 “기후 위기의 해답은 비건 채식”이라고 강조했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 등이 9일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비건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피켓팅과 퍼포먼스를 통해 “기후 위기의 해답은 비건 채식”이라고 강조했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16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물권 보장과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피켓을 들고 “동물은 음식이 아니다”, “비건 채식은 필수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퍼포먼스를 펼쳤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 등이 9일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비건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피켓팅과 퍼포먼스를 통해 “기후 위기의 해답은 비건 채식”이라고 강조했다.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스마트폰을 통해 음식을 주문하는 시대, 우리가 무심코 내리는 선택이 기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최근 독일 본 대학교 연구진은 음식배달 애플리케이션(앱)의 화면 구성과 정보 제공 방식을 조금만 바꿔도 소비자들이 더 친환경적인 메뉴를 고를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를 국제 학술지 Appetite에 발표하며 디지털 플랫폼의 역할에 주목했다. 연구진은 실제 배달 앱을 모방한 실험용 앱을 만들어 두 가지 개입 방식을 시험했다. 첫 번째는 ‘디폴트+넛지(Default+Nudge)’로, 이용자가 앱을 열면 기본 선택지가 이미 기후 친화적인 버거 메뉴로 설정돼 있었다. 사용자가 직접 메뉴를 다시 구성할 경우, 친환경 식재료가 목록 상단에 배치되고 초록 잎사귀 아이콘이 표시됐다. 두 번째 방식은 ‘정보+부스트(Information+Boost)’로, 지속 가능한 식습관에 대한 네 가지 간단한 팁을 제공하고, 선택한 메뉴의 예상 탄소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포함했다. 모든 그룹은 각 메뉴의 영양 성분과 예상 탄소 발자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에는 총 1011명이 참여했으며, 무작위로 세 그룹에 배정돼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16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물권 보장과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피켓을 들고 “동물은 음식이 아니다”, “비건 채식은 필수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퍼포먼스를 펼쳤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한국비건채식협회, 기후위기비건행동,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한국채식연합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16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물권 보장과 채식 실천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피켓을 들고 “동물은 음식이 아니다”, “비건 채식은 필수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퍼포먼스를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