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최근 국제학술지 '국제 분자 과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에 발표된 최신 리뷰 논문이 7가지 글로벌 슈퍼푸드의 항산화·면역 조절 효능을 과학적으로 분석했다. 연구진은 표고버섯, 인삼, 강황, 블랙시드(흑종자), 베리류, 모링가, 홀리바질(투시) 등 세계 각지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돼 온 식물들이 체내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고 면역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만성 질환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산화 스트레스는 활성산소종(ROS)의 과도한 생성과 체내 항산화 방어체계의 불균형에서 비롯된다. 이로 인해 세포와 조직이 손상되고 산화·환원 균형(redox balance)이 무너지면서 전신 염증과 다양한 질환이 유발된다. 연구진은 이번 분석에서 각 식물이 어떻게 산화·환원 균형을 회복하고, 세포 보호 경로인 Keap1/Nrf2를 활성화하는지, 그리고 면역 반응을 담당하는 Th1·Th2 균형을 조절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폈다. Th1 반응은 감염과 암세포를 억제하고, Th2 반응은 알레르기와 염증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표고버섯(Lentinus edodes)에는 ‘렌티난’이라는 다당류가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8월 15일 오후 1시, 광복절을 맞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 동물에게자비를, 동물을위한전진, 한국비건연대, 한국비건채식협회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8·15 광복절, 이제는 동물해방과 비건(VEGAN) 채식이다’를 주제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단체들은 성명서를 통해 “동물을 억압·착취·고문·학대·고통으로부터 해방하라”며 “동물을 해치지 않고, 죽이지 않으며, 억압하거나 착취하지 않는 비건 채식을 실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GO VEGAN! BE VEGAN!’ 구호를 외치며 피켓팅과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성명서에서는 ‘동물해방’이란 개념을 설명하며, 인간이 동물에 대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과 편견에서 벗어나 인식과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인정하고 억압과 착취로부터 해방시켜야 한다는 철학적 근거를 제시했다. 단체들은 호주의 윤리학자 피터 싱어의 저서 '동물해방'과 영국 철학자 제러미 벤담의 공리주의를 인용하며, 쾌락과 고통을 느낄 수 있는 능력(쾌고감수능력)을 가진 동물에게도 인간과 동등한 도덕적 고려가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종(種)이 다르다는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광복절을 맞아 ‘동물해방과 비건 채식’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참가자들은 피켓과 퍼포먼스를 통해 “종차별주의 철폐”와 “동물 착취 중단”을 외쳤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북미에서 진행된 대규모 장기 추적 연구에서 채식주의 식단이 전체 암 발병 위험을 낮추고, 특히 대장암과 위암 등 일부 암에서 뚜렷한 예방 효과를 보인다는 결과가 나왔다. 미국임상영양학회지(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25년 8월호에 실린 이번 연구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Seventh-day Adventist) 신자 9만5863명을 대상으로 약 10년간 진행된 코호트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다. 채식주의자들은 비채식주의자에 비해 전체 암 발병 위험이 12% 낮았으며, 부위별로는 대장암 21%, 위암 45%, 림프형성암 25% 각각 감소했다. 연구진은 2002~2007년 사이 모집된 참가자 중 연구 시작 시 암 진단 이력이 없는 7만 9468명을 대상으로 평균 10년 이상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채식주의 식단을 유지한 그룹은 암 발병 위험이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발병 빈도가 중간 수준인 암군에서도 위험이 18%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방암, 전립선암, 림프종 등에서도 채식주의가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통계적 근거가 확인됐다. 이번 연구를 이끈 미국 로마린다대학의 게리 프레이저 박사는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채소는 조리 방식에 따라 영양소 함량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채소는 열을 가하면 비타민과 항산화 물질이 파괴되지만, 생으로 먹을 경우 오히려 그 효능이 극대화된다. 생식은 식이섬유, 효소, 열에 약한 수용성 비타민 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건강에 유익하다. 다음은 생으로 먹을 때 더 좋은 대표적인 야채 5가지다. 첫째, 붉은 피망은 비타민 C의 보고다. 조리 과정에서 120~130도의 열을 받으면 비타민 C가 파괴되기 쉽지만, 생으로 섭취하면 하루 권장량을 훌쩍 넘는 양의 비타민 C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또한 항산화 성분인 베타카로틴과 캡사이신이 함유돼 면역력 강화와 피부 건강 유지에 도움을 준다. 둘째, 브로콜리는 설포라판이라는 강력한 항암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브로콜리를 생으로 먹었을 때 설포라판 함량이 조리 후보다 최대 37% 높게 유지된다. 특히 찌거나 볶는 조리 방식은 영양소 손실을 크게 일으키므로, 가급적 생으로 잘게 썰어 샐러드나 스무디에 넣어 먹는 것이 좋다. 셋째, 시금치는 조리 시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C와 일부 엽산이 물에 녹아 손실된다. 생으로 먹으면 이런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광복절을 맞아 ‘동물해방과 비건 채식’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참가자들은 피켓과 퍼포먼스를 통해 “종차별주의 철폐”와 “동물 착취 중단”을 외쳤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광복절을 맞아 ‘동물해방과 비건 채식’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참가자들은 피켓과 퍼포먼스를 통해 “종차별주의 철폐”와 “동물 착취 중단”을 외쳤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광복절을 맞아 ‘동물해방과 비건 채식’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참가자들은 피켓과 퍼포먼스를 통해 “종차별주의 철폐”와 “동물 착취 중단”을 외쳤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광복절을 맞아 ‘동물해방과 비건 채식’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참가자들은 피켓과 퍼포먼스를 통해 “종차별주의 철폐”와 “동물 착취 중단”을 외쳤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국제 동물권 단체 PETA(동물의 윤리적 처우를 위한 사람들)가 닌텐도의 최신 레이싱 게임 ‘마리오 카트 월드’에 등장하는 소 캐릭터 ‘카우(Cow)’의 코걸이 장식에 대해 공식 문제를 제기했다. PETA는 최근 닌텐도 사장에게 공개 서한을 보내 “코걸이는 실제 축산업에서 송아지의 젖을 막거나 성체 소의 행동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고통스러운 도구”라며 “이 장치를 캐릭터의 장식처럼 표현하는 것은 가축 학대의 현실을 미화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단체는 이어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지닌 닌텐도가 어린 이용자들에게 부적절한 메시지를 전달해서는 안 된다”며 해당 장식의 제거를 촉구했다. 코걸이는 산업 현장에서 동물의 자유를 억압하는 도구로 비판받아 왔으며, PETA는 이를 ‘권위적 통제의 상징’이라고 규정한다. 이번 서한에서 PETA는 “카우 캐릭터에게서 코걸이를 제거해 진정한 자유를 부여하라”고 요구했다. 현재 닌텐도는 이번 문제 제기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그러나 ‘마리오 카트’ 시리즈가 전 세계적으로 폭넓은 팬층을 보유한 만큼, 이번 논란은 게임 업계 전반에서 동물권 감수성을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에 대한 새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대학 캠퍼스 식당에서 주 1회 ‘고기 없는 날(Meat-Free Day, MFD)’을 도입하면 온실가스 배출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단백질 섭취 감소, 당류 섭취 증가, 매출 하락 등 부작용도 확인돼, 제도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스위스 로잔의 명문 공과대학인 EPFL(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과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연구진이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18개월 동안 대형 대학 캠퍼스 내 12개 구내식당에서 주 1회 MFD를 시행하고, 총 40만 건이 넘는 식사 구매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진은 MFD가 환경, 영양,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검토했다.분석 결과, MFD를 시행한 날의 식단은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이 52.9% 감소했다. 곡물과 채소 위주의 메뉴로 인해 식이섬유 섭취는 26.9% 늘었고, 콜레스테롤 섭취는 4.5% 줄었다. 이는 단 하루의 식단 변화만으로도 환경과 건강 지표가 동시에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단백질 섭취는 27.6% 줄었고, 당류 섭취는 34.2% 늘었다. 이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광복절을 맞아 ‘동물해방과 비건 채식’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참가자들은 피켓과 퍼포먼스를 통해 “종차별주의 철폐”와 “동물 착취 중단”을 외쳤다.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15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한국동물보호연합 등 비건 시민단체들이 광복절을 맞아 ‘동물해방과 비건 채식’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참가자들은 피켓과 퍼포먼스를 통해 “종차별주의 철폐”와 “동물 착취 중단”을 외쳤다.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일본 과학자들이 바다에서 녹아 사라지는 플라스틱을 개발해 세계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연구 성과는 플라스틱 오염이 지구 환경에 미치는 치명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지난 보고서를 통해 2040년까지 전 세계 플라스틱 오염이 현재보다 최대 3배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매년 수천만 톤의 플라스틱이 바다, 강, 호수 등 수계로 흘러들어가며 미세플라스틱으로 쪼개져 축적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해양 생물들이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해 생명을 잃거나, 물에 섞여든 독성 물질이 결국 인간의 건강까지 위협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기존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분해 속도와 완전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이런 가운데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신물질과학연구센터(CEMS)와 도쿄대학교 공동연구팀은 획기적인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 플라스틱이 물속에서 단 2~3시간 만에 완전히 녹아 사라지며, 어떠한 유해 미세플라스틱도 남기지 않는다고 밝혔다. BBC 보도에 따르면 연구를 이끈 아이다 다쿠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채식주의자라도 감자튀김 섭취에는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버드대 T.H. 챈 보건대학원 연구팀이 약 40년간 미국 성인 20만 5천여 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주 3회 감자튀김을 먹는 사람은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이 20% 높았다. 반면 구운 감자, 삶은 감자, 으깬 감자를 섭취한 경우에는 발병률 변화가 거의 없었다. 연구진은 감자 자체보다 조리 방식이 위험을 좌우한다고 분석했다. 감자를 삶거나 구우면 전분 구조가 유지돼 소화 속도가 느려지고 혈당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만, 튀기면 전분 입자가 파괴되고 지방이 더해져 혈당지수가 상승한다. 이는 인슐린 수요를 높이고 대사 부담을 가중시킨다. 하버드대 역학·영양학 교수 월터 윌렛은 “작은 식단 변화도 제2형 당뇨병 위험에 큰 영향을 미친다”며 감자튀김 대신 샐러드나 통곡물 빵을 곁들이는 것을 권장했다. 감자튀김은 종종 소금과 튀김옷이 더해지고, 반복 가열된 기름에 조리돼 췌장 세포에 해로운 화합물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외식 시 1인분이 2컵을 넘는 경우가 많아 섭취량도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에 따르면 감자 요리 대신 주 3회 통곡물을 섭취하면 당뇨병 위험이 최대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