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식습관 분석에서 식물성 식단과 지중해식 식단이 만성 변비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는 국제학술지 소화기학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간호사건강연구와 보건전문가추적연구에 참여한 9만6000여 명의 중·장년층을 수년간 추적해 식단 패턴과 장 건강 변화를 비교했다. 만성 변비는 ‘1년 중 12주 이상 지속되는 증상’으로 정의했다. 분석 결과, 채소·견과류·올리브유 등 식물성 재료와 건강한 지방을 중심으로 한 식단을 꾸준히 실천한 그룹에서는 장 기능 저하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면 가공식품과 포화지방 위주의 서구형 또는 염증성 식단을 따르는 그룹은 만성 변비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특히 섬유질 섭취량에 상관없이 식단의 전체적 구성과 질이 변비 예방 효과에 핵심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단일 영양소 중심 접근보다 장기적 식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소화기내과 관계자는 “나이가 들수록 변비는 흔하게 나타나는 문제지만, 균형 잡힌 식물성 식단이 장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관계자는 또 “채소, 견과류, 불포화지방을 고르게 포함한 식단은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지중해식 식단을 꾸준히 실천한 여성들이 자궁내막증 발병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과일·채소·콩류 등 식물성 식품 위주의 균형 잡힌 식단이 염증 완화와 생식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최근 게재됐으며, 이란 여성들의 지중해식 식단 준수 정도와 자궁내막증 발생 위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건강한 식단을 유지할수록 자궁내막증 발병 확률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과 유사한 조직이 자궁 외부에 자라 통증과 불임을 유발하는 만성 질환으로, 가임기 여성의 약 10%가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발병에는 호르몬·염증·면역 반응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며, 유전과 환경 요인이 모두 영향을 미친다. 연구진은 이란 테헤란 지역 여성 345명을 대상으로 병원 기반 사례-대조군 연구를 수행했다. 이 중 자궁내막증이 수술 또는 조직검사로 확인된 105명과 질환이 없는 대조군 208명이 최종 분석에 포함됐다. 연구 대상은 모두 18세 이상 49세 이하의 비임신·비수유 여성으로, 주요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