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이용학 기자] 정부가 만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임플란트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을 확대하면서 고령층의 치과 진료 부담이 줄어들고 있다. 치아 1개 이상을 상실한 경우 평생 2개까지 임플란트가 보험 적용 대상에 포함되며, 본인 부담률도 기존 50%에서 30%로 인하됐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임플란트는 저작 기능을 회복시켜 영양 상태 개선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치아 상실을 방치하면 잇몸뼈 흡수, 인접 치아 이동, 영양 불균형 등 구강 및 전신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조기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보험 적용 확대에도 불구하고 임플란트 시술의 난이도가 낮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임플란트는 인공 치근을 잇몸뼈에 식립하는 외과적 과정으로, 개인별 구강 상태와 잇몸뼈 조건, 신경 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세이프플란트치과의원 김태연 원장은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건강보험 임플란트 적용이 확대돼 고령층의 접근성이 개선된 것은 긍정적이지만, 임플란트는 고난도 과정이며 장기간 사용하는 만큼 의료진의 숙련도와 사후 관리 체계가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