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광주광역시는 17일 오후 광주테크노파크 과학기술본부에서 ‘광주 양자산업 육성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 ‘양자산업 육성 방안’을 모색했다.
광주시가 주최하고 광주테크노파크‧한국광융합산업진흥회가 주관한 이번 세미나는 지역 기업,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양자역학에 기반한 양자기술은 양자컴퓨터, 양자네트워크, 양자암호, 양자센서, 인공지능 등 사회 전반에 혁신을 불러올 차세대 핵심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세계 주요국은 이미 양자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정부도 향후 10년을 내다보는 ‘국가양자로드맵’을 올해 내 수립하고, 연구개발(R&D) 지원과 상용화 촉진을 통해 양자기술을 차세대 전략기술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김영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양자기술활용센터장이 ‘양자산업 생태계 활성화방안’을, 김명진 한국광기술원 ICT융합본부장이 ‘광주 양자클러스터 조성방안’을 발표했다. 이어 국내 대표 광통신기업인 ㈜우리로의 신동선 연구개발본부장이 기업 사례를 소개했다.
김영희 양자기술활용센터장은 ‘지방정부와 함께 양자산업 육성’을 주제로 국내외 양자기술의 최신 동향과 현재까지의 사업화 현황을 공유하고, 향후 기술 저변 확대를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김 센터장은 “양자기술은 기존 첨단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 기술이며, 디지털에서 퀀텀시대로 전환을 이끌 산업 전반의 동력이다”고 강조했다.
김명진 ICT융합본부장은 “광주는 연구기관, 장비, 다수의 광융합기업과 전문인력 등 이미 갖춰진 산업 생태계를 갖추고 있다”며 “이러한 기반을 바탕으로 산학연이 긴밀히 협력하는 양자클러스터를 조성한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융복합 산업을 빠르게 확장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신동선 ㈜우리로 연구개발본부장은 자사의 양자암호통신과 양자 센서 등 보유 기술의 다양한 적용 사례를 소개하며 “양자기술은 ICT, 보안, 의료, 국방 등 다양한 산업 분야와 융합할 수 있는 확장성을 지니고 있다”며 “광주가 가진 산업 인프라와 접목될 경우 파급효과가 더욱 커질 것이다”고 전망했다.
손두영 미래산업총괄관은 “광주는 광산업 기반과 연구 인프라를 바탕으로 양자클러스터를 조성할 수 있는 최적지이다. 양자기술은 게임 체인저로 불릴만큼 기술적 영향력과 산업적 파급효과가 크고,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장기적인 투자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연내 제도적 기반을 정비해 내년에 예상되는 양자클러스터 공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