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이용학 기자]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의 경고음이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는 2024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48도 높게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후협약 목표치인 1.5도 상승 제한선에 근접한 수치로, 지구의 열 균형이 심각하게 흔들리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국 역시 예외는 아니다. 지난여름 폭염 일수가 23일로 30년 평균보다 1.5배 길었으며, 가을 장마와 이상고온 현상이 동시에 관측됐다. 기상청은 이러한 이상기후가 앞으로 ‘새로운 일상’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후위기의 주요 원인으로는 온실가스 배출이 지목된다. 산업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탄소 배출량은 5억6700만톤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했다. 특히 석탄발전 비중이 여전히 30%를 넘어서면서 감축 속도가 더디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이행 강화를 위한 추가 대책을 내놓았다. 산업 부문 배출권 거래제를 확대하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30%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기업들의 자발적 감축 노력이 병행돼야 실질적인 전환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편, 국내 기업들도 대응에 나서고 있다. SK, 현대자동차 등 주요 그룹이 RE100 가입을 확대하며 탄소중립 경영을 선언했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RE100 참여 기업은 현재 75곳으로, 지난해보다 40% 늘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단순한 선언에 그쳐선 안 된다고 지적한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관계자는 “탄소 감축 효과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중소기업까지 참여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해외에서는 이미 다양한 전환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덴마크는 풍력 비중이 전체 전력의 55%를 차지하며 탄소중립 달성 시점을 2040년으로 앞당겼다. 독일 또한 석탄 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쇄하며 그린수소 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시민 참여 움직임도 활발하다. 국내 비영리단체들은 ‘플라스틱 프리 챌린지’나 ‘제로카본 캠페인’을 전개하며 개인의 생활 속 실천을 독려하고 있다. 한 시민참여단 관계자는 “소비 패턴을 바꾸는 것이 가장 직접적인 대응”이라며 “하루 한 번이라도 전기를 아끼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행동이 변화를 만든다”고 말했다.
기후위기는 더 이상 먼 미래의 문제가 아니다. 산업 구조, 도시계획, 교육 체계까지 전환을 요구하는 현실적 과제로 떠올랐다. 전문가들은 “지속가능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산업과 생태계의 붕괴가 불가피하다”고 경고하고 있다.